목록전체 글 (45)
atherapeutos
수업 중 대다수 참여자들은 교사의 목표문장 발화시도 미션 외에도 교사의 지도 없이 자발적으로 상 호작용을 수시로 시도하며 적극적인 의사소통의지를 발현하였다. 수업이 진행될수록 개인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 호작용에 있어서 수업의 초반보다 후반부로 갈수록 적극성을 보였다. 넷째, 유아영어학습자와 AI 음성인식 시스템 간의 언어능력 수준의 조율과 의사소통 장애 해결을 위하여 교사의 개입이 필요하다. Long(1983)의 상 호작용 가설에서 제시된 원어민의 언어능력 수준 조정은 현재 출시된 AI - 83 - 음성인식 시스템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이에 유아영어학습자의 이해를 위한 의미조율과 목표문장 이해를 위하여 교사의 지도를 통해 수정된 입 력을 제공하여야 하고, 학습자의 부적합..
Busch(1982)의 연구결 과 같이 내향적인 성격의 학습자가 ‘발음’에 있어서 높은 인식률을 보인 다는 점이 일치하였다. 성취감을 스스로 찾아내는 내적으로 강한 특성을 지닌 학습자의 특징으로 파악된다. Ausubel(1968)의 내향성과 외향성에 대하여 사회적응에 대해 왜곡된 인식을 갖게 만드는 잘못된 지표라는 지적에 수긍이 되는 사례이다. 문장 을 익힘에 있어서 연음 등 발음상의 문제로 인하여 피드백 오류가 계속될 경우, 자신감이 없어지거나 목소리가 작아지는 등 불안감을 표하기도 하 였다. 특히, 학부모가 직접 수업에 참관하여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관찰하 고 있거나 직접 부모가 교사의 역할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 위축된 모 습으로 불안감을 드러내기도 하였는데, 이는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 작용..
교사: 오.. 이상하다 왜 그러지. 우리 예빈이 정말 잘했는데 근데 선생님이 이야기 할 때도 구글이 이렇게 못 알아들을 때도 많이 있어....다시 용기내어서 해보자. 예빈: Ok, google. What does the pig say? (더 크고 정확한 목소리로) google: If you ask ....... (중략) 교사: Ok, google. What does the pig say? (엑센트를 줘서 보여줌) - 76 - google: (돼지 울음소리 들려줌) 교사: 선생님처럼 pig를 조금 더 크게 말하면 아, 돼지소리 들려달라는 거구나! 하고 잘 알아들을지도 몰라. 선생님이랑 같이 다시 한번 해보자.(계속 격려해줌) 교사&예빈: Ok, google. What does the pig say? g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