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therapeutos

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과 원어민의 언어능력 수준 본문

영어영문학, 헬로!

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과 원어민의 언어능력 수준

③℉ 2020. 9. 6. 10:00

교사: 오.. 이상하다 왜 그러지. 우리 예빈이 정말 잘했는데 근데 선생님이 이야기 할 때도 구글이 이렇게 못 알아들을 때도 많이 있어....다시 용기내어서 해보자. 예빈: Ok, google. What does the pig say? (더 크고 정확한 목소리로) google: If you ask ....... (중략) 교사: Ok, google. What does the pig say? (엑센트를 줘서 보여줌) - 76 - google: (돼지 울음소리 들려줌) 교사: 선생님처럼 pig를 조금 더 크게 말하면 아, 돼지소리 들려달라는 거구나! 하고 잘 알아들을지도 몰라. 선생님이랑 같이 다시 한번 해보자.(계속 격려해줌) 교사&예빈: Ok, google. What does the pig say? google: I don't understand. (중략) 예빈: Ok, google. What does the pig say? google: Here is a pig sound. [oink oink] 교사: Hooray!!! 잘했어 정말 잘했어. 예빈아 너무 잘했어. 예빈 미션 성공. ⑤ 선우 선우는 구글홈의 [표 33]의 feedback 반응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3차 시에서 no feedback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한 이유로 3차시에서 교사의 제 3자의 개입부분이 많아졌다. 또한 선우는 문장 발화 시 연음 처리를 해 서 발음을 할 때가 종종 있는데, 그럴 때에 AI 음성인식 시스템이 다른 단 어로 착각하여 no feedback의 결과가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표 33] 상 호작용 피드백 구성표에서 7차시 수업 처음 부분에 no feedback의 응답은 선우 혼자 AI 음성인식 시스템과의 발화를 시도했던 부분에서의 오류로 수 업녹화를 통해 드러났다. 8차시의 오류문장은 교사가 문장을 반복 연습시 키는 과정에서 나온 오류이다. [표 33] AI 음성인식 시스템 상호작용 피드백 구성표(선우) 차시 구글홈 feedback AI 상호작용 코드(AIIC) No Yes 3차시 [표 34] 학습문장 및 반복적인 오류문장 비교(선우) 수업차시 학습문장 반복적인 오류문장 3차시 What does the cat say? What [də:cesse]? 3차시 What does the cat say? What the [cesse]? ㆍhorse say ▸ [hol sse] ㆍpig say ▸ [pig sse] ㆍsheep say ▸ [sip sse] 6차시 How does a (악기명) make sound? How does a (악기명) make [song]? 8차시 Today is my birthday [Dudei] is my birthday. 8차시 Today is my birthday Today is my [bə:rse]. 전사자료35 (수업녹화, 선우 3차시, 3.15) 선우: uh...uh...What does pig say? google: Sorry, I'm not sure how to help with that yet. 교사: (미소지음) 다시 한 번 해볼까? 잘했어.(격려) What does the pig say? What does the pig say? 다시 한 번 해보자. 선우: Ok, google. uh...uh...What does uh...pig say? google: Here’s a cheetah sound like this. 교사 : 오, 신기하다. 구글이 치타 소리로 듣고 치타 소리를 들려주네. What does (3회반복) (중략) 선우: Ok, google. What does the pig say? google: Sorry, I'm not sure how to help with that . 교사: 잘했어. 선우야, 괜찮아. What does the pig say? What does the pig say? (한 단어 한 단어 바르게 짚어가며 다시 문장을 유아에게 들려줌) 그럼 선생님이 다시 한번 들려줘볼게. Ok, google. What does the pig say? google: Here’s a pig sounds like that. - 78 - 4.5 논의 4.5.1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논의 현재 상용화된 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은 언어학습을 위하여 개발된 기기가 아니다. 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은 다양한 질문과 상황에 대해 웹검색 결과와 API 등을 활용한 답변을 들려주지만, 학습자의 언어수준이 원어민의 언어능력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여 이해 가능한 입력 (comprehensible input)으로 학습되지 못할 때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가 어렵다. 그렇기에 원어민의 언어능력 수준에 가까운 기기의 학습도구 화를 위하여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breakdown) 상황 해결이 급 선무였다. 이에, 연구자는 L2 환경의 유아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해가능한 영어문장 을 선별하여 chunk수업과 함께 학습한 문장을 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 과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6,7세 유아 의 흥미를 고려해 다양한 교구를 제작하여 활용하였다. 학습자의 잘못된 발화(non-targetlike speech)에 대하여 형태적인 오류 수정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발화를 수정해 나아가는 ‘자기교정’(self-repair) 으로 오류를 수정하게 하거나, 교사가 올바른 형태로 오류 수정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교수자의 발화를 그대로 따라하는 ‘반복’(repetition) 행위 등을 통해 학습자가 오류수정 활동을 주도적으로 진행해 나갔다. 8차시의 수업을 통해 학습자는 8개의 핵심문장을 익혔으며, 관련 어휘 들을 학습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8차시 수업 종료 후, 인공지능 음성 인식 시스템과의 상호작용 테스트를 통해 그간 익힌 문장 표현에 대해 확 인과정을 거쳤다. 학습자들이 8문항 중 대다수 학습문장의 상호작용에 단 한 번의 발화기회에 성공함으로써 유아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AI 음성인 식 시스템이 학습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에 있어서 충분함을 증명하였다. - 79 - 4.5.2 AI 음성인식 시스템 피드백 양상에 대한 논의 앞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내향적인 성격의 유아학습자는 음성인 식 시스템과의 상호작용 시도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큰 기대를 갖지는 못했으나, 8문항의 최종 확인결과는 예상과는 다르게 목표문장을 다른 유 아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상호작용에 성공하였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