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5)
atherapeutos
그리하여 드발(Bill Devall)과 세션스(George Sessions)는 자연은 정복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과 함께 번성해야 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한다(65). 이러한 사고방식은 인간은 이 지구에 “거주”하고 있는 것이라는 마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의 자연관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는 “거주”란 인간이 번성할 수 있는 장소를 만 들고 그 장소를 돌보는 것이라 정의하며 인간은 생물지역에서 “거주”하기 때문 에 자연현상의 모든 과정을 소홀히 넘겨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즉, 생태계 구 성원의 영원한 “거주”속에서 인간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재인용 Devall and Sessions 98-9)는 사고와 상통한다. 하이데거의 주장을 요약하자면, 인간은 지구에 거주하는..
이러한 실용주의적 목적 달성을 위 해 생태비평이 이론적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생태비평론을 ‘다양한 자연관의 문학적 수용’이라고 규정하면, 생태비평의 활발 한 연구는 자연스럽게 다양한 자연관의 연구와 고찰로 이어진다 하겠다. 자연관 자체도 사실 하나의 단순한 사고라기보다는 철학, 윤리, 종교 그리고 다양한 문 화 요소들을 아우르는 복합적인 사고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어느 문학작품에 드러난 자연관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자연관과 필연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다양 한 사유의 실타래를 함께 풀어헤치는 과정이다. 환언하면, 생태비평은 단순히 자 연 자체의 본질적인 의미나 가치를 찾는 작업을 넘어 인간의 삶 전체와 자연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노력이다. 현대 생태비평..
제1장 서론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 1894-1963)의 소설『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1)는 1932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공상 과학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소위‘신세계’는 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삶을 철저하게 통제하는 사회로 그려지고 있는데, 이는 작가의 시대적 의 식이 십분 반영된 결과라 하겠다. 헉슬리가 이 소설을 쓸 당시의 시대상을 살펴 보면 과학과 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염려가 만연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유 전학과 생물학적 과학 분야의 발달이 인간을 타락시키고 더 나아가 유전자 조작 과 의약품의 발달이 사회 계층간의 위화감을 심화 시킨다(Levey 5)는 우려의 목 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었다.『멋진 신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