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5)
atherapeutos
위와 같이 다양한 범주의 질문에 알렉사보다 구글이 답변하는 경우가 많았 음을 밝혔으며, 구글홈이 질문에 답하지 못한 경우에 대해서는 구글사의 관계 자 인터뷰를 통해 ‘구글의 경우, 정확하지 않은 출처 또는 자료에 대해서는 답 변을 하지 않는다’라고 밝혀 궁금증을 해소하였다. 미국 인공지능 음성비서 시장의 양대산맥인 구글홈(구글)과 에코(아마존)를 기능적으로 비교하자면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구글홈과 에코 시스템 비교 구글홈은 원거리 음성인식(far-field voice recognition), 터치 컨트롤, Hi-fi 스피커 기술을 갖추었고, 무엇보다 개인 구글 계정과 연동하여 작동하고 사용자의 구분 Google home Echo AI엔진 (시스템) Google Assistant Alexa ..
이러한 대화형 에이전트들은 구어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며, 사용자의 발화 내용을 문자로 전환하기 위한 자동 음성 인식 기술, 사용자와의 상 호작용을 조종하기 위한 대화 컨트롤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 한 방법(예를 들어 문자 혹은 음성 생성)을 기본적으로 요구한다(Taylor, 1999). 일부 대화형 에이전트들은, Cortana ring 또는 Siri 동작 시에 나 타나는 물결선과 같은 그래픽 요소나 구체적인 사람의 모습을 재현한 아바 타와 같은 형태의 그래픽 요소를 지니고 있다(Luger, 2016). 작년부터 많은 자연언어를 기반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가 출시되어 있다. 글로벌 IT선도 기업들이 서로 음성인식 AI 개발프로젝트를 추진하 고 있어 가히 ‘AI 춘추전국시대’가 열렸다고 해도 ..
이러한 의미조율은 NS(native speaker)와 NNS(nonnative speaker, learner) 간의 대화에 있어서 상대방의 발화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해 상호 간 질문을 던지거나 NS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수용되는 것이다. 현재 출시된 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언어 조정이 일어나거나 대화구조 조정이 되지 않아서 학습자에게 수정된 입력 (modified input)을 제공할 수 없다. 현지의 원어민의 언어능력 수준을 기초 하여 제공되는 만큼 교사가 개입하여 학습자에게 수정된 입력을 제공하고 이해 가능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가 발화한 올바르지 못한 형태를 ‘인지’(noticing)하게 지도할 필요가 있다. 2.2 컴퓨터와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