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therapeutos

내향적인 성격의 학습자의 발음 인식률 본문

영어영문학, 헬로!

내향적인 성격의 학습자의 발음 인식률

③℉ 2020. 9. 6. 11:00

Busch(1982)의 연구결 과 같이 내향적인 성격의 학습자가 ‘발음’에 있어서 높은 인식률을 보인 다는 점이 일치하였다. 성취감을 스스로 찾아내는 내적으로 강한 특성을 지닌 학습자의 특징으로 파악된다. Ausubel(1968)의 내향성과 외향성에 대하여 사회적응에 대해 왜곡된 인식을 갖게 만드는 잘못된 지표라는 지적에 수긍이 되는 사례이다. 문장 을 익힘에 있어서 연음 등 발음상의 문제로 인하여 피드백 오류가 계속될 경우, 자신감이 없어지거나 목소리가 작아지는 등 불안감을 표하기도 하 였다. 특히, 학부모가 직접 수업에 참관하여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관찰하 고 있거나 직접 부모가 교사의 역할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 위축된 모 습으로 불안감을 드러내기도 하였는데, 이는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 작용 오류 상황에 대한 압박감으로 인하여 수업에 소극적이고 긴장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4.5.3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지(WTC) 양상에 대한 논의 전사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유아영어학습자들은 문장 따라하기 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작용을 수행하였다. 연구 전에는 AI 음성인식 시스템을 활용한 영어학습 방식이 학습자의 의 사소통의지를 높이고 WTC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인 제2언어 의 사소통 불안감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본 연 구 결과에서는 의사소통의지를 높인 것은 사실이지만 유아들이 제2언어 - 80 - 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필요로 하지는 않았다. 이는 유아 학습자가 성인 에 비해 실수에 대해서도 크게 두려워하지 않고 언어 형식에 민감하지 않 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김신혜(2006)는 아동은 성인에 비해 의사소통을 유지하는 전략적 능력 (어휘 회피, 근접어 전략 등)이 미약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금방 포기할 수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들이 AI 음성인식 시스템의 오인식 즉, no feedback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계속적인 의사소통 시도를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수업에서의 의사소통은 학습자가 주어진 목표문장 중심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자유주제를 바탕으로 진행된 의사소통이었다면 결과가 달라질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WTC에 관한 연구가 아직 초기단계라서 미약한 실정 이다. 게다가 초등학생 이상 교실환경에서의 WTC 양상을 고찰하는 연구 가 대다수이다. 향후, WTC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4.5.4 상호작용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논의 Bates(2006)는 자연적 언어과정이 어떻게 컴퓨터와 상호작용 할 수 있 는가에 대해 자연언어 이해과정은 사회에서 혁명적인 임팩트를 만들며, 10년 이내에 충분히 진보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그의 전망대로 현재 인 공지능은 머신러닝과 딥러닝,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많은 발전을 거 듭하고 있으나 아직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언어학습에 적용하기에는 몇 몇의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AI 음성 인식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2언어 학습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주목하여 유 아와 AI 음성인식 시스템의 상호작용 중 일어나는 대화의 장애를 해결하 는 방법으로 교사의 역할에 주목해 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던 사실은 유아학습자와 AI 음성 인식 시스템과의 양자 간의 원할한 상호작용은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다. - 81 - 그리하여 본 연구자가 분석한 교사의 역할로 Long의 상호작용가설에서 언어능력 수준에 맞춰 ‘수정된 입력’(modifed input)을 제공해 주는 시스 템적 역할을 제 3자의 개입자로서 교사가 그 역할을 담당 하였다고 보았 다. 교사는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유아의 대화에서 장애가 일어나면 반복 (repetition), 명시적 교정(explicit correction) 등의 오류수정 지도를 통 해 원하는 상호작용에 다가설 수 있도록 유아에게 피드백을 함으로써 대 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주었다. 이에 [그림 7]과 같이 교사의 역할을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유아영어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개입하여 학습자에게 이해 가능한 입력을 만들 수 있게 하는 ‘이해조율자(계단역할)’로 규정하였다. [그림 7] 이해조율자로서 교사의 역할 - 82 -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영어학습자는 AI 음성인식 시스템과의 언어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단어중심형 커뮤니케이션 시도를 문장구성형으로 개선하였다. 본 연 구에 참여한 유아영어학습자는 상호작용을 위한 영어말하기 능력이 부족 하였기에 교사가 목표문장 말하기를 유도하면 유아영어학습자는 지도에 따라 발화를 시도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자 본인의 발화시도에 따른 AI 음성인식 시스템의 언어적 피드백에 고무된 반응을 보였으며, 피 드백의 결과가 없는 단어중심 발화시도는 수업 차시를 더해가며 소거되었다. 둘째, AI 음성인식 시스템이 주는 피드백의 양상은 유아영어학습자의 목표문장 발화에 따른 AI 음성인식 시스템의 피드백을 yes/no로 구분지어 파악하였다. 또한, 유아영어학습자 개별 성격의 내향성과 외향성에 따라 발화 시도횟수의 차이가 났으며, Busch(1982)의 연구결과와 같이 내향적 인 성격의 학습자가 적은 발화시도 횟수에도 불구하고 AI 음성인식 시스 템의 yes feedback을 받은 성공률이 확연하게 높았다는 점을 통해 ‘발 음’에 있어서 높은 인식률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AI 음성인식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활용한 수업은 유아영어학습 자들의 의사소통의지(WTC)에 영향을 주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