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herapeutos
사회통제에 사용되는 과학 기술의 문제점과 공리주의 본문
헉슬리는『멋진 신세계』를 통해 사회통제에 사용되는 다양한 과학 기술의 사용과 그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러한 지 적은 역으로 생태적 사회 건설을 위하여 과학이 담당해야 하는 역할이 중차대 함을 인정하는 것이다. 과학의 힘에 기대어 형성되고 유지되는 신세계는 사람들에게 육체적으로 건강 한 삶, 그리고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에 절대 적으로 결여된 것이 있는데 그것은 자유다. 세계국에서는 사회의 안정과 다수의 행복을 위해 개인의 자유가 희생당한 것이다. 공리주의5)적 미덕을 기치로 내세 우며 사회통제를 정당화하는 무스타파는 존과 버나드를 비롯하여 개인의 자유를 최고의 가치로 신봉하는 인물들과 뚜렷이 대조되는 인물이며, 이러한 대조적인 인물 배치는 바로 이 소설에서 주제의 복합성을 강화하는 문학적 장치다. 따라서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자유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꽤 흥미롭고 의미심장한 작업이 될 것이다. 자유를 추구하는 인물로 우선 원시적 세계를 대표하는 야만인 존에 대해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는 인조인간이 아니고 뉴멕시코의 야만인 보호구역 (reservation)에서 태어나 자랐기 때문에 자유가 어떤 것인지 경험을 통해 알고 있는 인물이다. 그가 신세계는 사실 멋진 세계가 아님을 깨닫는 데는 오랜 시간 이 걸리지 않았다. 어머니 린다의 죽음을 지켜본 존은 그녀가 노예였다(185)고 생각한다. 소마에 사로잡힌 노예, 태어나면서부터 정해진 운명을 따르는 노예, 그 리고 조건화에 의해 굴러가는 사회의 노예였다고 여긴다. 그녀가 뉴멕시코의 야 만인 보호구역에 살았을 때를 제외하고 그녀는 늘 노예였다. 단지 그녀는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한 것이다. 존은 노예로 살았던 어머니를 떠올리면 5) 공리주의란 윤리 이론의 하나로 행복을 창출하고 불행을 줄이기 위해서 모든 행동의 옳고 그 름이 도덕성, 법, 사회 제도 등의 평가를 받아 표준화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200년 동 안 공리주의는 서양의 윤리 철학을 지배해 왔다(West 1). - 40 - 서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살아서는 안 된다는 인식에 이르게 된다. 그래서 그는 소마를 배급하는 장면을 목격하면서 배급을 방해하기 위하여 대중을 선동하는 격한 연설을 토한다. “여러분은 노예가 되는 것이 좋습니까?” [. . .] 존의 얼굴은 붉어져 있었고, 그의 눈 은 열의와 분노로 번뜩였다. [. . .] 존은 그들의 짐승 같은 어리석음에 화가 나서, 자신이 구해주러 온 대상인 그들에게 모욕적인 발언을 서슴지 않고 해댔다. 존이 퍼 부어 대는 이러한 모욕적인 발언은 그들의 딱딱한 어리석음의 껍질을 뚫지 못하고 튕겨져 나왔다; 그들은 존을 아무런 표정 없는 얼굴로 그러나 분노의 눈빛을 띄고 바라 보았다. [. . .] 존에게는 이제 슬픔과 회오, 동정과 의무감, 이 모든 것들을 생 각할 겨를이 없었다. 그는 이제 이들 인간 이하의 괴물들에 대한 강렬하고도 위압적 인 증오심에 빠져 들고 있었던 것이다. “당신들은 진정으로 자유로운 인간이 되고 싶지 않습니까? 인간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유가 무엇인지 이해합니까? 흥분한 탓 인지 존의 입에서 말이 유창하게 나오고 있었다. “여러분 어떻습니까?” 그러나 누구 도 존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좋습니다. 그럼 제가 가르쳐드리겠습니다. 당신들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지 당신들을 자유롭게 만들어 주겠습니다.” 존은 병원 안뜰로 난 창문을 열고 약 상자를 열더니 소마를 한 움큼씩 집어 던지기 시작했다. "But do you like being slaves?" [. . .] His face was flushed, his eyes bright with ardour and indignation [. . .]. exasperated by their bestial stupidity into throwing insults at those he had come to save. The insults bounced off their carapace of thick stupidity; they stared at him with a blank expression of dull and sullen resentment in their eyes. [. . .] Grief and remorse, compassion and duty–all were forgotten now and, as it were, absorbed into an intense overpowering hatred of these less than human monsters. "Don't you want to be free and men? Don't you even understand what manhood and freedom are?" Rage was making him fluent; the words came easily, in a rush. "Don't you?" he repeated, but got no answer to his question. "Very well then," he went on grimly. "I'll teach you; I'll make you be free whether you want to or not." And pushing open a window that looked on to the inner court of the Hospital, he began to throw the little pill-boxes of soma tablets in handfuls out into the area. (186-7) 자유가 무엇인지 경험을 통해 알고 있는 존은 신세계의 다른 누구보다 생태 인 - 41 - 식이 강하고 지배욕이 없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존의 강압적인 말투와 행동이 가져오는 충격은 실로 크다 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그의 언행 은 독자를 수긍하게 만드는 힘도 지닌다. 그는 자신이 소마 배급을 위해 기다리 고 있는 델타를 가르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그들에게 자유를 주겠다고 선언한다. 이러한 그의 오만은 그 색체는 다 르나 사회의 안정과 만인의 행복을 위해 과학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무스타파 의 오만을 닮아있다. 따라서 이 장면은 무스타파의 오만과 중첩되면서 사회통제 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자유지상주의의 한계를 시사한다고 볼 수도 있다. 또한 독자로 하여금 자유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는 장면이다. 존은 무스타파와의 대화하면서 자신은 늙고 추하고 심지어 성불구가 될 권리 를 원한다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먹을 것이 없어지고 이가 들 끓고 미래에 일어 날 일을 끊임없이 걱정하고 고통을 겪으며 힘들어질 권리를 원한다(212)고 강변 한다. 인간은 좋은 것을 누릴 권리뿐만 아니라 안 좋고 불행한 삶의 길이라도 스 스로 선택하고 곤경을 해쳐나갈 자유,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그 계획 하에 살아 갈 자유가 필요하다는 주장일 터이다. 인간은 적어도 자신이 살기 원하는 세상의 종류를 선택할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헉슬리는 사회통제에 대한 존의 극단적 반 응을 통해 자유의 무책임성과 그 소중함을 동시에 역설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 비단 존만이 자유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것은 아니다. 버나드 와 레니나의 대화 속에서 자유를 향한 버나드의 강한 마음이 표출된다. 버나드는 비참할지라도 자기 자신이고 싶다며 소마로 행복해지고 싶진 않다(77)고 말한다. 또한, 레니나에게 자유롭고 싶지 않는지, 조건화에 의해 이루어진 행복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행복해질 수 있는 자유를 원하지 않는지를 묻는다(79). 버나드 역 시 존처럼 소마를 싫어하는 인물로 소마를 자신의 자유를 빼앗아가는 존재로 인 식한다. 한편, 무스타파는 물론 부화 연구소의 소장도 자유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한다. 사실 영국에서는 수면 학습이 금지되었지. 그곳에서는 소위 자유주의라는 것이 있었 지. 여러분들도 아는지 모르겠지만, 그 당시에는 의회라는 것이 있었는데 이 의회에 - 42 - 서 수면학습에 대한 반대 법안을 통과시켰기 때문에 금지 되었던 거지. 지금도 그 기록이 남아 있어. 또한 국민의 자유에 대한 연설이 있었다네. 무능하고 비참해질 자 유가 있었던 거야. 네모난 구명에 끼워질 둥근 나무처럼 맞지 않는 자유였지.” “Sleep teaching was actually prohibited in England. There was something called liberalism. Parliament, if you know what that was, passed a law against it. The records survive. Speeches about liberty of the subject. Liberty to be inefficient and miserable. Freedom to be a round peg in a square hole.” (39-40) 그에게 자유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회통제를 저해하는 장애요소다.
'영어영문학, 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세계의 가부장적 가족 형태와 전체적인 사회 구성 (0) | 2020.09.03 |
---|---|
자유에 대한 신세계 국민들의 공통적 인식 (0) | 2020.09.03 |
헉슬리 신세계의 수면 학습법 (0) | 2020.09.02 |
우생학의 정치적 이용과 생명공학의 무비판적 수용, 인류의 조급함 (0) | 2020.09.02 |
과학의 윤리적 경계와 세계의 사회 통제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