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therapeutos

신세계의 가부장적 가족 형태와 전체적인 사회 구성 본문

영어영문학, 헬로!

신세계의 가부장적 가족 형태와 전체적인 사회 구성

③℉ 2020. 9. 3. 02:00

신세계 에는 가부장적인 가족의 형태는 없으나 전체적인 사회 구성은 여전히 남성중심 주의를 드러내고 있다. 북친이 성차별의 문제를 언급할 때면 프랑스의 공상적 사 회주의자인 샤를 푸리에(Charles Fourier)를 자주 인용 한다. 그는 바르고 건강 한 사회의 중요한 조건을 제시하면서 사회의 진보는 그 사회가 여성을 어떻게 대우하는 가를 보면 알 수 있다(EF 330)는 푸리에의 명언에 동의한다. 생태적 사회는 자연과 사회가 대립한다거나 어떤 관계에서든 지배와 피지배의 이분법적 사고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는 확신으로부터 시작 되어야 한다(Sintado 123). 세계국의 여성차별은 이 사회가 반생태적임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작가는 남성본위의식이 팽배한 세계국과 성차별이 존재하지 않는 인디언 보호 구역에 대한 묘사를 병치한다. 뉴멕시코의 원시인 보호구역은 가족의 틀을 그대 로 고수하는 인디언 부족이 살고 있다. 신세계는 이곳을 보호구역이라 칭하지만, 사실 이 곳은 보호구역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와부와의 소통이 단절된 지역이며 위험한 통제구역이다. 이 지역은 허가증 없이는 출입할 수 없는 곳이고, 이곳을 벗어나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 세계국인들은 자연의 방식으로 살아가는 이들을 야만인이라 부른다. 이들은 이 지역에 거주하는 인디언을 차별하는데 그치지 않 - 46 - 고 더 나아가 전통적이며 영적인 그들의 삶 자체가 갖는 가치를 부정한다. 존 클락(John Clark)은 부족사회의 영성(spirituality)이 문명사회의 물질주의보 다 생태적인 사회 구현에 더 큰 공헌을 한다고 주장한다. 토착민 부족이 믿는 신 화, 그들이 행하는 의식, 그리고 주술적 풍습을 통해 나타나는 영성은 사회와 자 연의 조화로운 관계를 지향한다(1570)는 것이다. 클락의 주장처럼 뉴멕시코의 야만인 보호구역은 신세계 이전의 전통적인 문화와 종교적인 유산들이 유지되고 있는 곳이다. 따라서 이 지역은 신세계의 사람들에게는 야만적인 장소지만, 전통 적인 종교, 토착 문화적 가치 나아가 자연을 존중하는 의식이 살아 숨 쉬는 곳이 다. 여기에서는 반 생태적인 보카노프스키 과정에 의해 아기들의 지능이 조작되 지 않고 전통적인 자연 분만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이렇듯 두 사회의 극명한 대 비를 통하여 작가는 첨단과학이 발달된 세계는 멋진 세계이고 그렇지 못한 곳은 추한 야만의 사회로 치부하는 계층적 이분법을 경계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 문제 삼는 또 하나의 차별은 외모지상주의다. 신세계에서는 외모 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극심함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자신의 왜소한 외모에 심 한 열등감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버나드는 델타를 볼 때 얼굴을 내려다보는 것 이 아니라 수평으로 봐야 한다는 사실에 수치스러워 한다. 그의 자격지심이 발동 하는 것이다. 그는 그들이 과연 자신을 알파로서 존경할까라는 의아심으로 자신 을 괴롭힌다. 세계 국가에서 사회 계층의 우월성은 그들의 체구에 연관 지어 생 각하도록 조건화되어 있기 때문이다(55). 이러한 외모에 대한 차별은 린다를 대 하는 세계국인들의 행태에서도 드러난다. 사실 사람들이 불쌍한 린다를 보고 싶어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그녀의 외모 때문 이었다. 뚱뚱하고, 젊음을 잃었고, 치아는 엉망이고, 부스럼투성이의 얼룩진 얼굴색, 그리고 그 모습(오 포드님, 맙소사!). 그 누구라도 그녀를 보는 순간 메스꺼움을 느낄 것이다. 그렇다. 그들은 정말 메스꺼움을 느낄 것이다. 그래서 상류층 사람들은 린다 를 보지 않기로 결심했다. Finally - and this was by far the strongest reason for people's not wanting to see poor Linda - there was her appearance. Fat; having lost her youth; with bad teeth, and a blotched complexion, and that figure (Ford!) - you - 47 - simply couldn't look at her without feeling sick, yes, positively sick. So the best people were quite determined not to see Linda. (133) 버나드는 스스로 자신의 외모에 자신감을 잃은 경우지만, 린다는 철저하게 다른 사람들로부터 외모 때문에 차별을 받는다. 신세계에서는 평생 젊은 외모를 유지 하기 위하여 육체적 나이마저 통제한다. 구성원들은 각종 과학적 수단을 이용함 으로써 30대의 젊음 모습을 유지하다가 60세가 되면 갑자기 삶의 종말에 이르도 록 조건화되어 있다(95). 린다의 끔찍한 외모는 육체의 나이가 많아지면서 나타 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임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이러한 외모지상주의를 통해서 주목할 점은 세계국인들은 자연현상을 거스르면서 문명, 곧 과학적 조작만을 예 찬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신세계의 또 다른 반 생태성은 ‘강요된 소비주의’다. 근대적 자본이 출현한 이 후 자본주의 경제 체계가 민주주의적 사회 가치와 결합하면서 소비주의가 출현 했고, 소비주의가 만연하면서 개인의 가치보다는 사회의 가치가 중시되었다. 그 리고 사회가 생산과 소비 지향적으로 변하면서 계층의 구분이 더욱 심화되었다. 이제 계층은 주로 생산과 소비의 방식 차이로 이해되기 시작하였다. 즉, 자본을 지닌 자와 그 밑에서 생산 활동에 참여하는 자의 구분이 생기고, 제품을 살 능력 이 있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로 구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현대 자본주의 체제 에서 개인의 정체성은 개인의 존엄성이나 사회의 규범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 니라 개인들이 생산과 소비에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Hamilton 572). 신세계는 포디즘(Fordism)을 맹종하는 사회로서 대량생산 과 대량소비를 지향한다. 소비가 최고의 미덕인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신세계는 수면 학습법을 이용하여 낡은 옷은 버려야 하는 나쁜 것으로 인식하 게 만들며 수선하는 것보다 버리는 것이 미덕(42-3)이라고 강조한다. 연구소 소장은 소비를 증진시키는 게임을 하려 들지 않는 것은 미친 짓(25)이라고 생각 한다. 그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소비는 숨 쉬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행위인 것이 다. 그들은 무분별한 소비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신세 계국인들은 낭비와 과소비에 대해 일말의 죄책감도 갖지 않도록 조건화된 것이 다. 전술하였듯이, 아이들이 장미꽃을 보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비명을 지르도록 - 48 - 만드는 것은 소비제일주의를 지향하는 경제 정책의 일환인 것이다(18). 사실 과 거에는 감마, 델타, 심지어 엡실론들까지 꽃을 사랑하도록 조건화하였는데, 그 목 적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들로 하여금 전원으로 나가게 하고, 그럼으로써 운송 기관의 이용을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그 결과 그들은 꽤 많은 국민들이 운송 기 관을 이용하게 만들었지만, 그 결과는 결코 만족스럽지 못했다(18). 경제적 파급 효과가 미미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 반대로 꽃을 싫어하도록 충격을 가함 으로써 다른 경제적 효과를 거양한다. 달맞이꽃과 자연 경관에는 한 가지 중요한 결점이 있다고 소장은 지적했다. 그것은 바로 무료라는 점이었다. 즉, 자연을 사랑하도록 훈련을 시켜 놓다 보니 공장에서 일 할 사람이 없어졌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하층 계급의 인간들에게는 어떠한 일이 있 어도 자연을 사랑하게 하는 훈련을 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진 것이다. 이 는 자연을 사랑하는 본성은 없애되, 운송기간을 이용하는 경향은 그대로 존속시키면 서 말이다. 왜냐하면 비록 자연을 증오하기는 하지만 그들도 다른 계급의 인간들처 럼 시골이나 전원에 갈 필요는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달맞이 꽃이나 자연 경관에 대한 사랑보다 운송 기관의 이용을 권장할 건전한 경제적 이유를 찾는 일이 었다. [. . .] “우리는 대중으로 하여금 자연을 증오하도록 조건화 시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