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herapeutos
헉슬리 신세계의 수면 학습법 본문
헉슬리는 인식변화의 기회마저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신세계의 지배와 통치 행태를 고발하고 있는 것 이다. 조건반사화를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기법은 바로 수면 학습법이다. 인공 부화 조건 반사 연구소의 모든 아이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이 수면 학습법을 거친 다. 수면 학습법의 효과는 실로 대단하다. “알파 아이들은 회색 옷을 입지. 그리고 그들은 매우 영리하기 때문에 우리보다 공 - 36 - 부도 더 열심히 하지. 내가 베타라는 것이 정말 기뻐, 왜냐하면 나는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거든. 그리고 우리는 감마와 델타들보다 더 훌륭해. 감마는 어리석어. 그들은 항상 녹색 옷을 입지, 그리고 델타 아이들은 카키색 옷을 입어. 아니 안돼. 나는 델 타 아이들과 놀지 않을 거야. 그리고 엡실론 아이들은 더 싫어. 그들은 너무 멍청해 서…” "Alpha children wear grey They work much harder than we do, because they're so frightfully clever. I'm really awfuly glad I'm a Beta, because I don't work so hard. And then we are much better than the Gammas and Deltas. Gammas are stupid. They all wear green, and Delta children wear khaki. Oh no, I don't want to play with Delta children. And Epsilons are still worse. They're too stupid to be able …" (22-23) 레니나와 헨리의 이 대화는 수면 학습법의 효과를 여실히 보여준다. 레니나는 확 신에 찬 어조로 자신이 엡실론이 아닌 것에 감사해한다. 헨리는 그런 레니나에게 만일 그녀가 엡실론으로 태어났다면 알파나 베타가 아닌 것에 감사하는 조건반 사화를 거쳤을 것(64)이라고 담담하게 말한다. 그리고 레니나가 죽은 알파나 베 타가 감마, 델타, 엡실론 보다 식물 성장에 더 많은 기여를 하지 못하는 것을 이 상하게 여긴다고 말하자 핸리는 모든 인간은 물리 화학적으로 똑 같다(63)고 대 꾸한다. 물리 화학적으로 똑 같은 성분을 지닌 과학적 피조물들인데도 한 계층이 다른 계층을 지배한다는 것은 부당하다. 바로 그처럼 부당한 지배에 문제를 제기 하려는 의욕 자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계국은 수면학습이 필요한 것이다. 수면 학습은 계층의식을 재강화하는 효과를 거양하기 때문이다. 강화된 계층의식은 통 치자의 위치를 견고하게 만들고 하위계층으로 하여금 통제를 스스로 받아들이게 만든다. 따라서 세계국은 ‘이차 자연’이 ‘일차 자연’을 완전히 흡수하여 일차 자 연의 모습은 남아 있지 않은 사회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신세계에서 조건 반사화를 위해 동원하는 전기 쇼크 기법은 특별히 생태비평 적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이들은 전기 쇼크를 받는 순간 의도적으로 보여주는 대상에 대한 공포와 혐오감을 몸으로 익히게 된다. 몸이 익혀진 공포와 거부감은 성인이 된 후에도 극복되지 않는다. - 37 - 책과 큰 소음들, 그리고 꽃과 전기 충격, 이 두 가지가 이미 아기들의 마음속에는 서 로 위태롭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거나 비슷한 훈련을 200번 정도 반복하게 되면 확고한 조건반사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인간이 결합시킨 것을 제아 무리 자연이라 해도 분리할 수는 없다. Books and loud noises, flowers and electric shocks - already in the infant mind these couples were compromisingly linked; and after two hundred repetitions of the same or a similar lesson would be wedded indissolubly. What man has joined, nature is powerless to put asunder. (17) 이 전기충격조치를 겪은 하위계층의 아이들은 평생 책과 꽃을 멀리할 수밖에 없 다. 이는 하층민들이 일부 알파 계급인들처럼 책을 읽으면 사회제도에 대한 비판 의식이 싹틀 수 있으니 아예 심리적으로 책을 혐오하도록 조건화함으로써 사회 체제에 대한 저항의 예봉을 꺾자는 의도에서 내려진 조치다. 한편, 꽃을 혐오하 도록 유도하는 이유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향수할 수 있는 감성을 말살하려는 의 도를 넘어 소비를 조장하려는 국가 정책과 맞물려 있다. 하층민들이 꽃을 좋아하 면 그들은 자주 자연을 찾게 되고, 자연을 찾아 도시를 떠나는 하층민들은 자신 이 담당하는 미천한 노동을 등한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운동 기구와 기계의 소 비가 크게 줄게 된다. 왜냐하면 세계국은 하층민의 소비 진작을 위하여 거대한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실내 스포츠만을 권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충 격요법은 본질적으로 반생태적이다. 세계국은 보카노브스키 과정으로 시작하는 다양한 조작과 훈육 조치로도 안심 하지 못하고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시민들의 욕구불만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 마(soma)라는 활력제를 제공하여 매일 복용하도록 권한다. 완벽한 사회통제 를 자랑하는 세계국에서 구성원들이 소마를 복용해야 하다는 사실은 이 나라도 결함투성이라는 현실을 스스로 인정하는 아이러니가 있다. 이는 세계국을 유토피 아가 아니고 디스토피아로 보아야 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신세계의 모든 사람 들은 소마를 상습적으로 복용하면서 불편하고 힘든 현실을 잊고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킨다. - 38 - “행복감을 주고 나른함과 기분 좋은 환각증상을 주거든.” [. . .] “기독교와 술의 장 점을 모두 갖고 있는 거지. 게다가 단점이 하나도 없어.” [. . .] “원하면 언제든지 휴가를 떠날 수 있지. 돌아올 때도 술을 마신 것처럼 머리가 아프지도 않고 기독교 처럼 신화에도 사로잡히지 않거든.” “Euphoric, narcotic, pleasantly hallucinant.” [. . .] “All the advantages of Christianity and alcohol; none of their defects.” [. . .] “Take a holiday from reality whenever you like, and come back without so much as a headache or a mythology.” (46) 신세계의 사람들에게는 공포나 악몽이 없을 뿐만 아니라 꿈도 희망도 없다. 조작 과 훈육에 의해 만들어진 인간성의 특성이다. 그들은 오직 생리적이고 표피적인 욕구만을 추구할 뿐이고 자기반성이나 사회변혁을 향한 욕구나 꿈은 애초부터 차단된 인조인간들이다. 그들은 마치 기계처럼 살아간다. 소마는 특히 엡실론과 델타 같은 하층민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 용된다. 물론 다른 계층도 모두 소마를 활용하지만 단순한 노동을 하는 엡실론에 게 소마는 그들의 현실을 잊고 실재하지 않는 행복이지만 행복할 수 있는 유일 한 순간을 제공하는 수단인 것이다. 소마를 분배하는 도중 무질서한 델타에게 질 서를 지키지 않으면 소마 분배를 중단할 것이라고 위협하는 장면은 델타 계급에 게 소마의 존재가 얼마나 대단한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델타에게 소마가 없는 삶은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다(185). 린다(Linda)가 신세계로 다시 돌아온 후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간절히 원한 것이 바로 소마 휴가였다. 그녀에게 신세계 로 돌아오는 것은 바로 소마로 돌아오는 것과 같은 것(133)이었다. 마치 삶의 목 적이 소마의 복용인 듯이 세계국인들은 소마를 갈구한다. 소마를 복용함으로써 세계국의 구성원들은 마지막 남아있을 수 있는 사회변화의 욕구와 꿈마저 박탈 당하는 것이다. 사회통제를 지상과제로 삼는 세계국 지배자의 입장에서 보면 소 마는 유토피아를 가능하게 하는 최후의 구원투수인 셈이다. 생태적 위기의 근원을 체계적으로 살피고자 하는 사회생태주의는 생태 과학의 역할을 강하게 주문한다. 즉, 생태 과학은 사회 구성원의 신분을 영속시키려는 의도로 만들어진 사회제도에 도전장을 던지고 그 생태적 폐해를 일깨우는 역할 - 39 - 을 담당해야 한다(Tokar 53)는 것이다. 생태 과학이 과학의 테두리를 넘어 사회 제도적인 문제점을 직접 지적해야한다는 주장이다. 지배자가 존재하고 착취당하 는 계층이 존재하는 사회를 지양하고, 개인의 자유와 자아가 인정되고 그렇게 자 아와 자유를 지닌 개인들이 사회제도적 문제점을 인식하고 변화를 추구하도록 돕는 것이 생태 과학의 역할이라는 것이다.
'영어영문학, 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에 대한 신세계 국민들의 공통적 인식 (0) | 2020.09.03 |
---|---|
사회통제에 사용되는 과학 기술의 문제점과 공리주의 (0) | 2020.09.03 |
우생학의 정치적 이용과 생명공학의 무비판적 수용, 인류의 조급함 (0) | 2020.09.02 |
과학의 윤리적 경계와 세계의 사회 통제 (0) | 2020.09.02 |
계층적 구분과 생태계 파괴 그리고 억압과 지배의 형태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