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therapeutos

올더스 헉슬리의 소설 멋진 신세계, 공상 과학 소설의 대표적 작품 본문

영어영문학, 헬로!

올더스 헉슬리의 소설 멋진 신세계, 공상 과학 소설의 대표적 작품

③℉ 2020. 9. 2. 12:00

제1장 서론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 1894-1963)의 소설『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1)는 1932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공상 과학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소위‘신세계’는 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삶을 철저하게 통제하는 사회로 그려지고 있는데, 이는 작가의 시대적 의 식이 십분 반영된 결과라 하겠다. 헉슬리가 이 소설을 쓸 당시의 시대상을 살펴 보면 과학과 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염려가 만연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유 전학과 생물학적 과학 분야의 발달이 인간을 타락시키고 더 나아가 유전자 조작 과 의약품의 발달이 사회 계층간의 위화감을 심화 시킨다(Levey 5)는 우려의 목 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었다.『멋진 신세계』는 이러한 시대상을 잘 반영하고 있는 소설이라 하겠다. 과학의 무궁한 발달 속에서 자연의 모든 현상들은 과학의 법칙에 의해 설명이 가능해졌고, 그로 인해 지극히 예측 가능한 대상이 되었다. 이에 따라 인간은 현 세계에서의 완벽한 삶을 추구하게 되었다. 과학 기술과 의학의 발달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전에 없던 편리함을 가져왔다. 그러나 과학과 의학의 진보를 마냥 긍 정적으로만 바라볼 수 없는 것 역시 현실이다. 헉슬리는 과학의 양면성, 즉 빛과 그림자를 모두『멋진 신세계』에 담아내는데 성공했다. 또한, 이 소설에는 셰익스 피어(William Shakespeare)의 작품뿐 아니라 맬서스(Thomas Robert Malthus), 마르크스(Karl Marx), 프로이드(Sigmund Freud), 제임스(William James), 다윈 (Charles Darwin), 골턴(Francis Galton), 포드(Henry Ford), 테일러(Frederick W. Taylor), 파블로프(Ivan P. Pavlov)등, 문학과 정치, 경제, 경영, 심리학, 생 물 등의 분야에서 시대를 대변하는 인물들의 사상과 이론들이 대거 등장한다(한 수영 190). 이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헉슬리의 해박한 지식과 상상력이 그 진가 를 여지없이 보여 준 결과라 하겠다. 그래서 그의 소설이 불러일으킨 반향 역시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마침내 ‘멋진 신세계’를 창조했지만, 그 세계는 끝임 없 는 불안 속에 존재한다. “공동체(community), 동일성(identity), 안정(stability)” 1) Huxley, Aldous. Brave New World. London: Vintage, 2004. 이하『멋진 신세계』라 칭하며 이후 본문 인용은 이 책에 의거하며 쪽수만 표시함. - 2 - (1)이라는 신세계의 표어가 제구실을 다 하는가 하는 의문을 떨치기가 어렵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진정 멋진 세계가 맞는가? 이 질문에 대해 추재욱은 대위법적 문명의 의미 탐색: 헉슬리의『멋진 신세계』에서 헉슬리가 이 작품을 통 해 현 시대가 지니고 있는 근대성의 문제점들을 풍자와 과장을 통해 여실히 보 여주고 있으며 그의 주장은 합리적 원리에 근간을 둔 과학 발전을 비판하고 있 다고 본다(345-6). 당시 사람들은 과학 기술의 신기하면서 동시에 무서운 힘, 예 를 들어 화학 전쟁이나 기관총에 의한 대량학살이 이루어지는 것을 목도하게 되 었고 이러한 기술의 성취는 인류에게 자멸의 위기감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Levey 5). 이러한 시대 상황을 고려해 볼 때 헉슬리의『멋진 신세계』는 당시에 팽배했던 사람들의 우려를 소설 속에서 구체화 시키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 색하고자 한 소설이라 할 수 있다. 헉슬리가 창조한 ‘신세계’는 다소 과장된 느낌 을 주기도 하지만, 헉슬리의 예지적 능력 그리고 현 시대의 과학적 발달 상황과 사회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적절한 묘사가 다양한 분야의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수십 년 동안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측면에서『멋진 신세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학적 측면에서 살펴 본 가족의 관계, 과 학기술로 인해 사라진 부모의 가치 등을 다루는가 하면, 페미니즘적 관점으로 접 근하여 어머니의 존재, 여성의 차별과 자유 등을 다루기도 한다. 또한, 소설에 등 장하는 자본주의와 포디즘(Fordism), 그리고 철저하게 구분된 계층과 지배의 문 제와 함께 생명공학이 가져온 문제 등, 다각도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멋진 신세계』는 과학과 물질문명을 비판하는 ‘디스토피아(dystopia)’적 소설이 라는 고착화된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한수영은 이 텍스트가 디스토피아 의 상징이 된 것은 작품의 내용이 주로 문명 세계인 ‘신세계’와 뉴멕시코의 ‘야만 세계’의 대립, 그리고 야만인 존(John the savage)이 자살하는 플롯을 통해서 보 여주는 과학과 물질문명에 대한 무언의 비판에 기인한다고 본다(191). 즉, 작가 는 과학, 특히 생명공학 기술의 힘에 바탕을 두고 세워지고 그러한 첨단 과학의 작동에 기대어 유지되는 ‘멋진’ 과학 세상의 실상을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루어지고 있는 헉슬리에 관한 연구들은 이 작품이 디스토 피아적인 소설이라는 고정된 독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으로 이 소설을 분석 - 3 - 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Levey 2). 이 작품에 대한 다양한 비평 중에서도 특 히 생태비평적인 관점이 주목을 끈다. 추재욱은『프랑켄슈타인』과『멋진 신세 계』에 나타난 생명윤리의 생태학적 균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책 없는 생명체 즉 프랑켄슈타인을 창조함으로 발생되는 문제들과 직면하지 않기 위해서『멋진 신세계』의 복제된 인간이라도 동일한 인간 생명체로 받아들이는 생태학적 생명 윤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43). 또한, 김현생은 이 소설이 현대 사회가 고민하고 해결해야 하는 자연파괴와 환경의 문제 등, 생태론적 인식과 그 방안 모색에 대 해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35)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녀의 이러한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글은 과학 문명이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를 이끌어 오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정도에 머물러 보다 깊이 있는 생태적 고찰 에 대한 아쉬움을 남긴다. 생태비평은 무엇보다도 20세기 말에 지구가 처한 환경위기를 겪으면서 태동한 하나의 비평 장르다. 최근 들어 자연과 환경에 관한 인간의 인식이 고양됨으로 인해 생태비평은 더욱더 주목을 받고 있다. 생태비평이라 함은 문학 작품을 환경 의 문제와 연계하여 연구하는 분야이다. 다시 말해, 생태비평은 문학 작품이 자 연을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 작품 속에서 주변 환경이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 작품이 어떠한 생태적 인식과 태도를 보여주고 있는지 등을 분석한다. 즉, 문학이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 작품이 생태적 문 학으로서의 특징을 잘 들어내고 있는지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Glotfelty 122). 그러므로 생태비평이라는 용어는 문학과 환경에 대한 이론적 접근에 대한 통칭 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두호의 설명처럼 ‘eco’는 더 이상 자연과학의 한 분 야인 생태학적 의미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문 사회학적 의미도 포함하고 있는 용어로 그것은 자연생태는 물론 사회적, 문화적 생태 등, 다양한 관점을 담 아내는 용어로 사용 되고 있다(118). 그러나 생태비평은 문학에 대한 이론적 접 근법이지만, 단순한 이론적 접근에 그쳐서는 안 된다. 로렌스 뷰엘(Lawrence Buell)은 생태비평을 환경운동가들의 실천에 정신적으로 참여하여 문학과 환경의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430)라고 정의한다. 뷰엘의 정의가 시사하는 바는 생태비 평은 이론적 접근에 실용성과 실천을 접목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환언하면, 생태 비평은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환경적 문제를 극복하고 구체적 실천을 - 4 - 모색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다분히 실용주의 적 성향을 지닌다(손민달 46)고 할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