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therapeutos

무스타파와 엡실론의 조건 반사 훈련 본문

영어영문학, 헬로!

무스타파와 엡실론의 조건 반사 훈련

③℉ 2020. 9. 2. 18:00

그들이 받은 조건 반사 훈련이 그들이 걸어 야 할 삶을 정해주는 거지. 다시 말해서 엡실론은 자신들의 길을 따라 가기만 하면 되는 거지. 병 속에서 제조되어 이 세상에 나오더라도 그들은 여전히 병 속에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네. 비록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여전히 유아적이고 태아적인 고정 상태로 머무르면서 말이야. 물론 우리 모두....., 평생을 병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거 지. 하지만 만일 우리가 알파로 태어나면, 우리는 상대적으로 큰 병 속에 머무르게 되지. 좁은 공간은 고통스럽거든. 상류층이 마시는 샴페인 대용액을 하층민의 병 속 에 부을 수 없는 이치와 마찬가지로 말일세. “Only an Epsilon can be expected to make Epsilon sacrifices, for the good reason that for him they aren't sacrifices; they're the line of least resistance. His conditioning has laid down rails along which he's got to run. He can't help himself; he's foredoomed. Even after decanting, he's still inside a bottle an invisible bottle of infantile and embryonic fixations. Each one of us, of course," the Controller meditatively continued, "goes through life inside a bottle. But if we happen to be Alphas, our bottles are, relatively speaking, enormous. We should suffer acutely if we were confined in a narrower space. You cannot pour upper-caste champagne-surrogate into lower-caste bottles. (196) 무스타파는 엡실론을 같은 인간 이라기보다는 자신이 믿는 사회의 안정과 모든 이들의 행복을 위한 도구로 생각하고 있음이 여실히 드러난다. 그는 엡실론도 사 회에 꼭 필요한 존재라고 되뇌지만(78) 사실 사회를 지배하고 이끌어가는 계층 에게 엡실론은 동등한 인간이 아닌 도구이자 물품에 불과한 것이다. 대량생산에 의해 만들어진 소모품과 같은 존재, 쓰고 버릴 수 있는 그런 상품인 것이다. 이 논문에서 주목하는 점은 헉슬리가 무스타파의 오만함을 고발함으로써 결국 그러 한 계층의식이 인간과 자연의 관계 설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 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인간 사이에서 형성된 계층의식은 자연스럽게 인간 중심주의적 세계관으로 치환된다는 사실을 경계해야 한다는 교훈이다.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사고의 근원은 바로 지배하고자 하 - 21 - 는 인간의 지배욕구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욕구의 발현은 바로 인간이 다 른 인간을 지배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는 사회 생태주의의 핵심 주장임과 동시 에 헉슬리가 전하고자 하는 주된 메시지이다. 본디 자연과 유기적 관련을 맺고 있던 사회가 서서히 재정립의 과정을 거쳐 연장자 중심 그리고 남성 중심의 제 도가 생성되면서 사회계층이 출현한다. 특히 그러한 변화과정 속에서 성직자 계 급과 전사 계급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교적, 정치적 계급의 출현이 바로 전반적인 사회 계층과 계급 형성의 초석이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사회 계 층은 노동과 희생을 정당화하는 정신적 계층을 낳는다. 즉 정신노동과 육체노동 사이의 우열 구분이 뚜렷해지고, 이제 우열의 잣대로 모든 사물과 인간을 평가하 기에 이른다(White 38-40). 한편, 계층 사이의 우열의식은 사회구성원들의 시 기와 질투심을 자극하기 십상이다(Gendron, et al. 19). 이 소설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우열의식에서 비롯된 갈등은 바로 알파 계층 간의 갈등이다. 계층 내부의 갈등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 바로 버나드 막스 (Bernard Marx)이며, 그의 갈등은 같은 계층에 속하는 다른 인물들에 대한 질 투, 자기 부정과 연민, 그리고 낮은 계층의 사람들에 대한 경멸과 폭언으로 나타 난다. 버나드는 격납고로 자신의 비행기를 가지러 간 장면에서 이를 여실히 보여 준다. 그는 그곳에 있는 델타 마이너스 직원에게 ‘거만하고, ‘모욕적인’어조로 명 령하는데, 그 이유는 오히려 늘 작은 키 때문에 열등감에 빠져있던 그가 자신의 신분상의 우월성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또한, “나는 나 야. 하지만 내가 아니길 바래” ("I am I, and wish I wasn't")라고 내뱉는 말을 통해 자기를 스스로 부정하는 속내를 드러낸다(55). 그래서 그는 델타 계층의 직 원들에게 더욱 크게 소리친다. 그의 목소리에는 추한 신경질이 묻어났다(56). 버나드는 한편으로는 자유를 원하면서도 계층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 가 강하지는 않다. 사회 생태주의가 지향하는 유기적 사회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강압이 존재하지 않는 평등한 사회다. 그것은 결합 및 상호 의존과 보호를 원하 는 인간의 기본 욕구로부터 발생한 자연적 사회인 것이다. 유기적 사회에서 사람 들은 다른 사람이나 사물을 그리고 모든 관계를 그들의 우월성이나 열등함으로 판단하지 않고 그들이 지닌 고유한 특성으로 바라보는 삶의 태도를 보인다 (White 38). 이러한 사회생태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우 - 22 - 열의식과 계층의식에 매몰된 지극히 반 생태적이며 비유기적인 사회다. 사회 계층이라 하면 권력과 부를 기준으로 하는 수직적 계층 구조를 먼저 떠 올리게 된다. 그러한 구조 속에서 하위 계층은 난폭하고 혐오스러운 존재로 여겨 지기 일쑤다. 반면에 권력을 쥐고 부를 이룬 상류 계층은 존경과 부러움의 대상 이다. 이러한 계층 구조를 형성한 사회는 사회계층의 이동성, 특히 수직 상승을 제한하는 신분제도를 적극적으로 보호한다(Gendron, et al. 18-19). 신세계의 계층구조는 가장 전형적인 수직적 구조를 지녔으며, 이 구조 속에서 알파는 최상 위 지도층이고 엡실론은 가장 낮은 계층으로 단순하며 비천한 일을 담당한다. 이 사회에는 계층간의 이동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는다. 조건 반사나 보카노부스키 과정 등의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하위 계층의 사회적 신분상승욕구 자체를 철저 히 통제하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중부 런던 인공 부화 조건 반사 연구소(Central London Hatchery and Conditioning Centre)의 소장은 이러한 통제와 지배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아이들의 의식은 확성기를 통해 나오는 이러한 제안으로 인하여 의식화가 되고, 이 러한 제안들의 총체가 곧 아기들의 의식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단지 아이들의 의 식만이 아니라 성인들의 의식도 마찬가지입니다. 평생 그렇게 됩니다. 판단하고 갈망 하고 결정하는 의식이 이러한 제안으로 만들어집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모 든 제안을 우리가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Till at last the child's mind is these suggestions, and the sum of the suggestions is the child's mind. And not the child's mind only. The adult's mind too-all his life long. The mind that judges and desires and decides-made up of these suggestions. But all these suggestions are our suggestions!" (23) 사회 계층은 그 형태가 굳어지면서 특정 계층이 다른 계층을 억압하거나 특권을 지니도록 제도화 된다. 그리고 제도화 과정에서 개인의 의견이나 상호작용 혹은 선천적 행동은 철저하게 무시된다(EF 29). 이 소설 속의 세계국에서 국민들의 판단, 결정 그리고 욕망은 부화 연구소에서 일하는 상위계층에 의해 결정되어버 - 23 - 린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이 행사하는 통제와 지배를 즐기며 자랑스러워한다. 그들은 자신을 신격화하고 다른 계층의 사람들을 내려다보며 통제할 특권을 지 니고 있다는 착각에 빠진다. 특히 높은 지능을 지닌 알파는 그들만을 위한 학교 에 다니며 인간 생명체를 창조하고 훈육을 통해 신분을 결정하는 등, 다른 계층 이 누리지 못하는 엄청난 특권을 누린다. 그 이유는 그들이 사회의 여러 가지 중 책을 맡아야 하고 예상치 못한 위급 상황 등에도 대처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 (140)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