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therapeutos

인식의 변화와 역사적 진화 그리고 과학의 혁신적 발달 본문

영어영문학, 헬로!

인식의 변화와 역사적 진화 그리고 과학의 혁신적 발달

③℉ 2020. 9. 2. 16:00

인식의 변화와 역사적 진화와 함께 과학이 혁신적인 발달을 거듭하거나 혹은 폐기 되어 사라지는 등의 변화를 겪게 되는가 하면, 사회적, 민족적 그리고 성별에 대한 계층 구분의 기준 역시 변화하게 된다 (Bookchin, SEDE 6). 사회 생태학자들은 계층 구분을 허용하는데, 그들의 계층 구분은 계층을 구별하여 차별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사회 안에서 계층의 차이에 서 오는 차별과 사회적 차별이 전이된 자연의 차별이 엄연히 존재함을 인정하고 그러한 차별들을 동시에 제거하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유기적 사회(Organic Society)의 개념 속에서는 개인 사이의 다양한 차 이, 예컨대 나이의 차이, 성별의 차이, 인종의 차이 등은 물론 인간과 자연 그리 고 생물과 무생물 사이의 차이 등도 헤겔의 용어인 ‘차이의 조화’(unity of differences)나 ‘다양성의 조화’(unity of diversity)로 인식해야지 차별의 요소로 간주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Bookchin, The Ecology of Freedom (이후 EF로 약칭함) 5).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원하는 사회 생태주의에서 자연계를 인간의 사회와 구분하여 사고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것은 결국 생태 문제와 사회 문제 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생태 문제의 해결 방안 역시 사 회문제의 해결방안과 연계하여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사회 생태학의 주장이다. 사회 생태주의는 사실 심층 생태학보다 먼저 출현하였다. 사회 생태학은 생태 과학이나 생태적 사고 등이 모두 ‘파괴적인’사고라는 의견이 만연하던 1960년대 중반에 태동했다. 북친은 사회생태주의적인 사유는 파괴적인 것이 아니라 그 근 본이 아주 혁명적이고 부흥적인 것이라 역설한다. 두 번의 세계 대전과 대공황을 - 14 - 거친 20세기에 세계적으로 자본주의가 진리인 것처럼 보이는 현실에서 그는 생 태적 위기가 무엇보다도 그러한 자본주의 체제가 안고 있는 불평등의 문제에 기 인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사회의 전체적인 틀을 문제시하는 북친은 생태문제는 제도나 문화 체계, 즉 사회 문제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일부 환경주 의자들처럼 특정한 환경문제에 편협하게 접근하는 것은 성급한 일이라 지적한다. 경쟁과 손익 계산이 사회를 추동 하는 기본 원리로 작동하는 자본주의가 인간의 탐욕을 자극하고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관계에서 보는 것 처럼 주종의 관계로 전락시켰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자본의 힘이 작용한 결과로 고용주가 피고용인을 지배하고 피고용인은 고용주에 복종하지 않으면 생 존할 수 없는 사회체계가 정착된 것이다. 사회 생태주의는 이러한 자본주의 체제 가 지닌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와 활동이 생태적 불평등의 문제를 해 결하는 임무와 함께 추구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고 믿는다. 그리하여 자본주 의의 이념을 맹목적으로 실천하는 국가를 비판하며, 생태적 조화를 위해서는 사 회제도의 변화와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사고는 현대를 이끌고 있는 자본주의 문명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생태적 사회로의 방향전환을 촉구한다고 하겠다. 북친은 이상적인 생태 공동체의 구체적인 가능성을 이른바 ‘무정부적 공동체 주의’(anarcho-communism)에서 찾는다. 사회 생태주의자들은 생태문제에 대한 답을 인간과 자연이 이루고 있는 관계를 전체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사회와 생태계의 해방을 함께 이룰 수 있는 통합적이고 논리적인 이론과 실천방 안을 구하고자 한다. 북친은 사회 해방이 가져 올 생태적 사회와 그 모습이 가장 유사한 공동체의 예를 선사시대의 원시공산사회에서 찾으면서 일정 정도의 물질 적인 사회발달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았다(Post Scarcity Anachism (이후 PSA 로 약칭함) 20-3). 어느 정도의 과학 기술과 산업의 발달은 가난과 결핍이 존재 하지 않은 진보된 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라고 간주하면서, 공산사회를 추 구하는 인간들이 사회를 재편할 수 있다면, 인류의 자유와 복지를 앞당길 수 있 다고 주장한다(Eiglad 15-6). 그리하여 1980년대 초에 북친은 합리적인 생태 사 회를 위한 정치적 기반과 민주적 혁명의 체계를 이루기 위해 ‘리버테리언 지역 자 치주의’(libertarian municipalism) 주창했다. 리버테리언 지역 자치주의라 함은 지역 - 15 - 별로 이루어지는 민주주의를 의미한다. 그는 새로운 정치가 필요하다고 역설하며 작은 지역과 이웃이 지극히 개인적인 것을 공적인 것으로 만드는 주체가 되고 생태운동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리버테리언 지역 자치주의자들은 작은 지역별로 의회를 구성하고 선거를 거쳐 선출된 대표가 직접 토론을 통해 민주주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정치를 제안한다. 심지어 이 지역 의회가 지역 경제 활동 도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중앙집권적 정부의 부재와 새로운 민주주 의의 실현 속에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가 실현될 것이라고 주장한다(SEC 101-2: Biehl 13-4: Purchase 35). 그러나 중앙집권적 정부의 형태는 결국 사회 제도 사이 의 또 다른 계층을 형성하고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사회를 지배하고 수탈하는 구 조를 갖게 되며, 그러한 불평등 구조는 그대로 생태적 차별을 조장하는 논리와 실천 으로 전이된다는 주장이다. 그래서 리버테리언 지역 자치주의가 실현되는 사회가 바 로 유기적 생태 사회인 것이다. 북친의 아나코 코뮌주의는 아나키즘과 코뮌주의의 합성어로 이 두 용어는 모 두 중앙집권적인 세력이 없고 계층의 구별이 없으며 지방 분권이 이루어진 사회 를 의미한다. 그것은 재산의 축적으로 이루어진 사회가 깨어지고 인간의 관계가 중시되는 새로운 개념의 사회이다. 아나키즘은 권위, 지배에 반하는 인도주의적 사고를 담고 있으며, 아나키즘의 주된 관심은 사람들의 소소한 일상생활이다. 그 러나 이들의 진지한 관심은 작은 공동체에서 출발하는 사회 변혁이 이 세계를 재건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아나코 코뮌주의 사회는 사유 재산제를 폐지하고 개 개인의 필요에 맞게 재산이 배분되는 사회로 전환되고, 노동자 계급만이 고된 노 동에 시달리지 않으며 공동체 구성원들이 평등하게 교대로 일하기 때문에 개인 별 노동 시간이 축소될 것이라 예견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 건설을 위한 모든 실천은 강제와 명령에 의해서가 아닌 자발적인 자기 수양과 훈련을 통해 이루어 진다고 설명한다(PSA 20-2). 특정 계급의 지배가 없고 그래서 착취당하는 사람 이 없는 유기적 공동체는 전체주의적인 이념의 강요가 아니라 개인의 자기 수양 과 깨달음을 통해 자발적으로 생성되는 비권위적인 사회 형태인 것이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사회야말로 사회 구성원이 권력의 확장과 자본의 축적을 탐욕스럽 게 추구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기 마련인 생태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 는 진정한 생태 공동체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 - 16 - 다음 장에서는 이러한 북친의 사회 생태주의를 바탕으로 헉슬리가 창조한 멋 진 신세계 속의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우선 살피고, 그러한 분석 과정 속에서 헉 슬리의 생태적 사유가 사회 생태주의적 사고를 어느 정도 담지하고 있는지를 고 찰한다. 아울러 그처럼 사회문제와 한 배를 타고 있는 생태문제가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사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 1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