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herapeutos
음성언어와 이야기의 단어를 문장으로 확장 본문
또한, 영어 그림책 반복 읽기를 통하여 유아가 앞으로 나올 단어 또는 에피소드를 쉽게 예측 할 수 있게 되며, 음성언어와 이야기의 단어를 문장으로 확장하며, 스스로 말 할 수 있게 되어(김세희, 2007) 흥미가 증가 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림책은 유아가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겪게 되는 불안과 긴장을 줄여주며, 특히 그림책 속의 그림은 유아의 흥미를 이끌어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여 외 - 39 - 국어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에(Reid, 2002), 본 연구에서는 영어 그림책을 반복해서 읽으며 흥미를 가지고 영어 어휘능력을 발달시킨 것 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EFL이라는 제한적인 환경에서 간접적이지만 영어 그림책을 통하 여 어린 학습자들에게 풍부하고 사실적인 언어사용에 노출시킴으로서 상황에 따른 적절하고 자연스러운 영어사용이 증가하고, 영어 그림책 반복 읽기 수업 을 통해 어린 학습자들이 영어 그림책의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예측하고 반복 되는 글과 그림을 연결하여 글을 쉽게 이해하게 되며 영어 어휘력발달에 도움 이 됐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반복되는 영어 어휘에 친숙해져 이야기 를 이해함에 따라 자신감이 증가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연 구의 영어그림책 반복 읽기 활동으로 책 속의 글과 그림을 통해 아동들이 영 어 그림책에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읽으며, 자연스럽게 영어 어휘를 습득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5.1.2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유아의 한국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유아의 한국어 어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좋아하는 책을 반복해서 읽고자 하며 기존 의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연결하고, 어휘에 의미를 논의하고 표현하였다는 연 구 결과(김영실, 1990; Morrow, 1998, 재인용)가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 또한 그림책을 반복해서 읽어주는 활동이 이야기를 한번 읽어주기보다 추가적 인 정보를 제공하여 어휘가 향상되고 읽기에 많은 도움이(박상희, 김명화, 천 혜경, 2008)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유아의 수준에 적합한 그림책을 읽을 때 - 40 - 유아는 흥미와 관심을 보이며, 이는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도가 높아져 언어 발달이(김혜원, 2003; Bellon & Ogletree, 2000, Owens & Robinson, 1997) 일 어나기 때문에 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를 통하여 유아가 목표어휘를 반복해 서 말하게 되는 과정들을 통해 한국어 어휘능력이 발달(송성자, 1997)된 것으 로 추정할 수 있다. 교사의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 활동을 통하여 유아는 새 로운 한국어 어휘를 학습하고 유아가 기존에 가진 한국어 어휘의 의미를 확장 하여 질문하고,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는(김현희, 박상희, 천혜경, 2008)과정에 서 한국어 그림책에 대한 애정이 증가하고, 한국어 독해력이 발달(김원경, 2003; Rothlein & Meinbach, 1991)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를 통하여 유아들의 수준에 적합한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어주어 유아가 이야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되 어 한국어 그림책 속에 나오는 한국어 어휘를 잘 이해하고 이야기에 익숙해져 한국어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교사들은 아직 어휘가 덜 발달된 어린 연령의 유아들에게 한국어 이야기를 한 번 이상 들려 주고 격려해 주어야 하며, 전에 읽었거나 이야기기 나누었던 그림책은 다양한 방식으로 다시 읽어 볼 수 있도록 격려하여 반복읽기를 통하여 그림책에 대한 이해를 깊어지게 해야 한다. 또한, 더 많은 이야기 나누기에 참여함으로써 유 아가 자연스럽게 한국어 어휘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요약하면, 본 연구의 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 활동으로 유아는 새로운 단어에 해당하는 그림을 보고 새로운 단어를 명명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어휘와 지식들을 구 성하여 한국어 어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할 수 있 다. - 41 - 5.1.3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와 유아의 영어·한국어 어휘 능력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영어·한국어 어휘능력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어린시기에 이중 언 어를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모국어의 발달을 저해한다(Wong, 1991)는 주장과 는 달리 모국어에서 접한 친근한 주제와 어휘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그림과 이야기라는 친근한 그림책 맥락을 통해 제 2 언어를 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Vardell, Hadaway, & Young, 2006)는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한다. 또 한 모국어 발달이 잘 되어 있는 학생일수록 영어 습득 능력이 뛰어나다(최진 숙, 2007; Baker, 1993; Cummins & Swain, 1986)는 연구 결과처럼 교사가 아 동들에게 어떠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가에 따라 언어 습득의 효과(최지현, 2013)가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영어·한국어 그림책을 동시에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두 언어의 어휘를 모두 습득하여 모국어만 사용하는 유아들보다 어휘를 더 빨리 축적(Paradis, 2007)하여 두 언어 모두 어휘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에, 영어 와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는 영어·한국어 어휘능력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 며(황혜신, 2004) 영어·한국어 능력이 균형 있게 발전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모국어만 습득 할 때에는 언어의 형식적 측면을 의 식적으로 주의집중 해야 할 필요가 없으나 외국어를 함께 배울 때에는 두 가 지 부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의식적으로 언어의 형식적 측면에 주의집중 하게 되면서 상위 언어 발달이 촉진된다(Galambos & Goldin-Meadow, 1990)는 주 장과도 일치하며, 외국어 학습이 모국어의 습득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 려 언어 감각이 날카롭게 되어 모국어를 풍요롭고 더욱 세련되게 구사할 수 - 42 - 있다(한유미, 조복희, 1999)는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반복적인 영어·한국어 그림책 읽기를 통하여 유아가 그 림책 읽기에 관심을 보이고, 또한, 유아에게 친근한 주제와 관련된 그림책을 제시함으로서 흥미롭게 읽기 활동에 참여하여 이야기를 한번 읽어 주는 것보 다 추가 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되어 영어·한국어 어휘능력 향상에 도움이 됐 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언어를 교육하는 교사는 이중 언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유아에게 모국어교육 뿐만 아니라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긍심을 심어주며 우리의 전통문화, 현대 한국문화의 뿌리와 근본과 함께 영 어 문화에 대한 교육을 함께 해야 할 것이다. 5.2.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유아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그림책 반복 읽기는 유아의 영어 어휘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는 유아의 한국어 어휘능력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사이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 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는 유아의 어휘능력 향상을 가져왔 으며,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능력 향상을 위해 필 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한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 43 - 본 연구에서는 영어그림책 반복읽기가 영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영어 의 상호작용이 제한적인 EFL환경에서 유아가 선호하는 그림책 읽기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자연스러운 영어표현에 노출되어 처음 접하는 생소한 영어어휘도 그림을 통하여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사료된다.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한국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어 그림책을 반복해서 따라 읽는 과정에서 단순한 읽기가 아닌 이야기를 노래하듯 즐겁게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한국어 어휘학습의 동기가 부여되었으며, 일상 구어체에서 사용하지 않는 한국어 어휘들을 접하게 되어 한국어 어휘력이 향 상을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어린 학습자의 영어 어휘능력과 한국어 어휘능력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중 언어에 대한 연구가 이 루어졌으며, 평가 시 표준화된 검사 도구로 측정하였으므로 연구 결과의 정확 성을 높여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은 이중 언어 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34명의 아동으로 실험대상의 특수성과 규모면에서 일반화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 라서 충분한 연구기간을 갖고 보편화된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여 분석할 필요 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영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한국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 였다. 따라서 이중 언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이중 언어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외에 인쇄물 개념 또는 읽기 이해능력 등 다양한 언어능력에 대해서 연 구할 필요가 있다.
'영어영문학, 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의 전통적인 영어 읽기 수업 (0) | 2020.09.06 |
---|---|
주변 이미지에 쉽게 방해 받는 유아들의 특성 (0) | 2020.09.06 |
그림을 활용한 어휘력 측정 도구 (0) | 2020.09.06 |
교사의 일회성의 책 읽어주기 (0) | 2020.09.06 |
어떤 언어를 말하고 이해한다는 것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