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therapeutos

주변 이미지에 쉽게 방해 받는 유아들의 특성 본문

영어영문학, 헬로!

주변 이미지에 쉽게 방해 받는 유아들의 특성

③℉ 2020. 9. 6. 19:00

주변 이미지에 쉽게 방해 받는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해 중심 이미지 하나만을 포함한 그림으로 선정하였으며 인쇄된 카드는 15cm×10cm 사이즈로 코팅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총 2주에 거쳐 연구대 상자들의 영어 어휘에 대한 사전 지식을 알아보는 사전 어휘 검사를 실시하였 다. 사후 어휘검사는 10주간의 실험수업이 끝난 후 총 2주간에 거쳐 사전 어 휘 검사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한국어 그림책의 어휘 검사는 수용어휘력검사(REVT-R, 2009)를 사용하여 실험이 시작되기 전 총 2주에 거쳐 사전 수용 어휘를 검사하고 10주간의 실험 수업이 끝난 후 총 2주간에 거쳐 사전 수용 어휘 검사와 동일하게 진행되었 다. 3.4.1. 사전 검사 아동들의 단어에 대한 사전 지식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 직전, 2주에 거쳐 사전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검사자는 객관적인 검사를 위해 본 연구자를 제외 한 총 2명으로 유아교육을 전공한 10년차 유치원 교사로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이중 언어자와 유아교육을 전공한 6년차 유치원 교사로 영어로 의사소 통이 가능한 이중 언어자로 연구자로부터 어휘 검사 방법을 설명 받은 후 검 - 33 - 사를 진행하였다. 사전 검사는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는 공간에서 자유선택활 동 시간을 이용해서 개별 면접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검사시간은 1인당 15-20 분 정도 소요되었다. 영어 그림책 어휘 검사를 위해 검사자는 그림 카드를 네 장을 한 세트로 하여 책상위에 올려놓고 정확한 발음으로 목표어휘를 발음하 고, 검사자가 명명하는 어휘를 아동이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방법으로 진행하 였다. 한국어 그림책 수용어휘 검사를 위하여 검사자의 만 나이, 생활연령을 계산 하고 검사자의 생활연령에 따라 설정된 기초선의 번호를 시작문항으로 하였 다. 검사자는 4개의 보기 그림들을 제시한 후 정확한 발음으로 목표어휘를 말 해주며, 목표어휘 이외의 어떠한 말도 추가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진행하였다. 사전 검사 후 검사자간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신뢰도는 0.93 통 제집단의 신뢰도는 0.90 이었다. 3.4.2. 수업실행 수업은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주2회씩 반별로 정해진 시간에 10주간 30분 씩 진행되었다. 학습자들에게는 영어그림책, 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가 어휘 습득 검사에 대한 영향을 주는 연구라는 사실을 알리지 않고 연구에 참여하였 다. 수업은 본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수업에서 사용된 언어는 주로 영어였지만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경우 한국어를 혼용 사용하여 진행하였 다. 수업은 아동들의 긴장을 풀기위해 간단한 인사말이나 노래로 시작하여 아동 들이 수업이 시작되었음을 스스로 인지하고 자발적으로 교사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아동들이 흥미를 보이는 그림책은 한 번 - 34 - 더 반복하여 읽음으로서 아동들의 흥미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수업을 운 영하였다.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도 영어 그림책 반복 읽기와 마찬가지로 진 행하였다. 3.4.3. 사후 검사 10주간의 실험 수업이 끝난 후 총 65개의 목표 어휘를 대상으로 사후 검사 를 진행하였다. 사전 검사를 실시했던 동일 교사가 아동들을 한명씩 불러 분 리되어진 조용한 공간에서 사전 검사와 같이 개별적으로 검사를 진행하였다 3.5. 자료 분석 본 연구의 검정을 위해서 사전, 사후 영어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 평가 시 실험 집단 간의 동질성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10주간의 실험 수업 후 사후평가는 독립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를 통한 교육을 실시한 후 영어 어휘 능력과 한 국어 어휘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 earson 상관관계 검정을 실시하였 다. - 35 - 제4장 연구 결과 4.1. 영어 그림책 반복 읽기가 유아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를 통한 교육을 실시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학 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본 결과는 표 8 과 같다. < 표 8 > 영어 그림책 반복 읽기가 유아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후 검사 결과 ( = 34) 표 8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후 영어 어휘능력 평가 결과 차이가 있었으 며, 이러한 실험 집단의 영어 어휘력 검사(M = .34)와 통제 집단의 영어 어휘 력 검사(M = .1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 = 6.58, p < .001). 이 는 유아들의 외국어 습득에 있어 영어그림책 반복읽기가 영어 어휘 능력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위와 같은 결과는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영어 어휘 능력 향상에 도움을 영역 집단 n M SD t 영어 어휘능력 실험 17 0.34 0.10 6.58*** 통제 17 0.11 0.09 ***p < .001 - 36 -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이정인, 2010). 또한,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로 어휘 노 출과 다양한 문맥을 경험한 유아들의 제 2언어 어휘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4.2. 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가 유아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를 통한 교육을 실시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본 결과는 표 9 과 같다. < 표 9 >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유아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후 검사 결과 ( = 34) 표 9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후 한국어 어휘능력 평가 결과 실험 집단의 한국어 어휘능력 사후검사(M = 16.8)와 통제집단의 한국어 어휘능력 사후검 사(M = 9.4)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 = 5.02, p < .001). 이는 유 아들이 한국어 습득에 있어 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가 한국어 어휘 능력에 영역 집단 n M SD t 한국어 어휘능력 실험 17 16.8 3.98 5.02*** 통제 17 9.4 4.66 ***p < .001. - 37 -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위와 같은 결과는 유아들은 좋아하는 책을 반복해서 읽고자 하며 기존의 지 식과 새로운 지식을 연결하고, 어휘에 의미를 논의하고, 표현한다는 연구와도 (마송희, 2002)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가 유아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한국어 어휘와 표현에 노출시켜 자연 스럽게 한국어 어휘 습득이 가능하다고 추측할 수 있다. 4.3.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와 유아의 영어·한국어 어휘능력 상관관계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를 통한 교육을 실시한 후 영어 어휘 능력과 한국어 어휘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영어 어휘능력과 한국어 어휘능력 사이에 (r = .51, p < 표 10 >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 어휘능력 상관관계 (N = 17) * p < .05.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 어휘능력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 어휘능력 1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 어휘능력 .51* - 38 - 제5장 논의 및 결론 5.1. 논의 본 연구는 한국에서 영어를 학습하는 조기학습자가 영어 뿐 아니라 모국어 인 한국어도 함께 학습하는 환경에서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유아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 구 결과를 토대로 자세히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5.1.1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유아의 영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 결과,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유아의 영어 어휘능력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로 어휘 노출과 다양한 문 맥을 경험한 유아들의 제 2언어 어휘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Collins, 2005, 2010, Roberts, 2008)는 연구와 맥락을 같이한다. 즉, 본 연구 결과는 반 복적으로 영어 그림책을 읽으면서 이야기에 나오는 영어어휘에 더 친숙해지고 이야기 내용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이야기를 중심으로 교사와 유아간 의 대화를 유아가 점차 주도하게 되며 이는 후에 읽기에 대한 유아의 긍정적 태도 또는 자신감을 형성(김민진, 2008)하게 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