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herapeutos
그림을 활용한 어휘력 측정 도구 본문
그림을 활용한 어휘력 측정 도구는 어린 연령의 학습자 또는 장애 아동처럼 문자인식이 어려 운 학습자를 대상으로 활용되며 검사 방식은 다음과 같다. 그림 카드를 네 장 을 한 세트로 하여 책상위에 올려놓고 정확한 발음으로 목표어휘를 발음하고, 검사자가 명명하는 어휘를 아동이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방법이다. 3.2.2.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 어휘능력 그림검사 본 연구의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 어휘력은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Kim, Hong, Kim, Jang, & Lee, 2009)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2세 6개월부터 16세 이상 성인들을 대 상으로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된 검사 도구이다. 문 항의 구성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의 어휘들이며 수용·표현 어휘 각각 185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검사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표현어휘력 검사를 먼저 하고 그 다음 수용어휘력 검사를 한다. 표현 어휘력 검사는 그림을 보고 유아가 그림에 해당하는 어휘를 말하는 것이고 수용 어휘력 검사는 검사자가 해당 어휘를 말하면 유아가 4장의 그림 중 그 어휘로 적절하다고 생각한 문항 을 가리키는 것이다. 유아의 응답이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으로 채점해 점수 - 25 - 로 평가되는데 유아가 연속으로 8개 문항 중 6개를 틀리게 되면 반응한 마지 막 문항을 기준(최고한계선)으로 하여 중단한 번호에서 오답항목의 개수(오류 수)를 뺀 원점수로 판단하게 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어휘력이 높다는 것을 의 미한다(김지연, 2018, 재인용). 본 연구에서는 수용어휘력 검사만 시행 하였으 며,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연구 대상자들의 어휘 능력을 평가하였다. 3.2.3. 영어 그림책 선정 방법 영어 그림책 선별기준은 Colins(2010)이 제시한 사항과 Roberts(2008)의 연 구에 사용되었던 영어 그림책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자세한 선별 기준 하위 항목은 표3에 제시 하였다. 선별 기준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아동문학 전문가 1인과 함께 실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영어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영어그림책의 목록은 다음 표 4 과 같다. - 26 - < 표 3> 영어 그림책 선정 기준 평가요소 하위요소 세부선정기준 문학성 주제 -유아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주제와 내용인가? -유아가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인가? 언어적 표현력 -목표 어휘가 텍스트에 잘 적용되어 있는가? -적어도 두 번 이상 이야기에 출현 하였는가? 예술성 예술적 요소, 양식, 매개체 -그림이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는가? -그림이 내용을 잘 설명 하고 있는가? 교육성 발달연령 적합성 -유아의 발달 연령에 적합한가? -텍스트의 길이가 적합한가? < 표 4 > 영어 그림책 목록 No. Title Author 1. Rosie’s walk Pat Hutchins 2. The Snowy Day Ezra Jack Keats 3. The Napping House Audrey Wood 4. Caps for Sale: A Tale of a P eddler, Some Monkey and Their Monkey Business Esphyr Slobodkina 5. Corduroy DonFreeman 6. Mouse P aint Ellen Stoll Walsh 7. “Charlie Needs a Clock” Tomie dePaola 8. Noisy Nora Rosemary Wells 9. Gilberto and the Wind Marie Hall Ets 10. The Little Red Hen Paul Galdone - 27 - 3.2.4 영어 그림책 어휘 선정 방법 어휘력 평가를 위한 목표 어휘의 선정은 (Roberts, 2008)의 연구에서 사용 되었던 72개의 단어 중에서 수업에 사용 될 그림책에 출현하는 65개를 Colins(2010)이 제시한 사항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사항에는 목표 어휘가 텍스트에 잘 적용되었는지, 적어도 두 번 이상 이야기에 출현 하였는 지, 동화 안에 그림으로 잘 설명 되어 있는지, 아동에게 익숙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단어는 아닌지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어휘 목록에는 쉬운 수준의 단어 들도 포함하였는데 이는 어휘력 테스트에서 유아의 수준에서 알 수 있는 단어 들도 일부 포함시키는 것이 테스트를 진행할 때 유아가 긍정적인 태도로 답을 하고 테스트의 수행을 격려 할 수 있기 때문이다(Roberts, 2008). 이상의 기준 을 바탕으로 연구를 위해 최종 선정된 그림책의 목표어휘는 다음 표 5 와 같 다. - 28 - < 표 5 >영어 그림책 목표어휘 No. Title Vocabulary 1. Rosie’s walk pond, over, fence, under, beehive 2. The Snowy Day woke-up,window,snowba ll,stick,angel, mountain, climb, pocket 3. The Napping House scare, woke-up, house, sleeping, granny, mouse, lie down 4. Caps for Sale: A Tale of a peddler, some Monkey and Their Monkey Business caps, street, tree, monkey, angry 5. Corduroy watchman, escalator, button, friend, Teddy bear, 6. Mouse P aint mice, jar, puddle, paint, stir, washed 7. “Charlie Needs a Clock” sheep, cloak, yarn, drying, cutting, sewing, 8. Noisy Nora father, lamp, marbles, chairs, mailbox, leaving, 9. Gilberto and the Wind door, wind, umbrellas, kite, bubbles, break, leaf 10. The Little Red Hen hen, sweep, window, wheat, oven, crumb, housework - 29 - 3.2.5. 한국어 그림책 선정 방법 수업의 소재로 사용된 한국어 그림책은 이경우(1997)의 좋은 그림책 평가 기준을 재구성한 최유미·정상우(2018)의 좋은 그림책 선정의 일반적 기준을 참고하여 국내 창작동화 10권으로 선정하였다. 선별 기준에 대한 내용타당도 를 아동문학 전문가 1인과 함께 실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한국어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이경우(1997)의 좋은 그림책 평가기준을 재구성한 최유미·정상우 (2018)의 좋은 그림책 선정의 기준은 다음 표 6 와 같다. < 표 6 > 좋은 그림책 선정의 일반적 기준 평가요소 하위요소 세부선정기준 문학성 주제 -유아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주제와 내용인가? -희노애락 등 유아의 정서가 이야기 속에서 나타나는가? -유아가 쉽게 공감하고 동일시 할 수 있는 내용인가? 구성의 견고성 -안정된 구성을 갖는가? -줄거리가 단순하고 명쾌한가? 언어적 표현력 -단순하고 재미있는 대화체의 문장인가? -쉽고 반복적이며 리듬 있는 언어로 구성되었는가? 예술성 예술적 요소, 양식, 매개체 -글과 그림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 -그림이 내용을 보다 풍부하게 표현해주고 있는가? -그림의 크기가 유아의 연령이나 책의 특성에 적합하게 만들어졌나? 교육성 발달연령 적합성 -유아의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발달 연령에 적합한가? - 30 - 본 연구에 사용된 한국어 그림책의 목록은 다음 표 7 과 같다. < 표 7 >한국어 그림책 목록 No. 제목 저자 출판사 1. 우리가족입니다 이혜란 보림 2. 색깔을 훔치는 마녀 이문영 비룡소 3. 밤에도 놀면 안돼? 이주혜 노란돼지 4. 오리가 한 마리 있었어요 정유정 보림 5. 할머니의 여름휴가 안녕달 창비 6. 바람이 불지 않으면 서한열 보림 7. 강아지 똥 권정생 정승각 8. 곰 아저씨의 선물 고혜진 국민서관 9. 모래 물고기 박준형 소년한길 10. 괜찮아 아저씨 김경희 비룡소 - 31 - 3.3. 영어·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 수업 설계 3.3.1. 수업 안 구성 본 연구에서 설정한 그림책 반복읽기의 단계는 김민정, 심향분, 정가윤 (2015)이 사용한 ‘수학적 어휘사용을 강조한 그림책 반복읽기 단계’를 참고하 였다. 김민정, 심향분, 정가윤 (2015)의 수업모형을 재구성한 본 연구의 수 업설계는 다음 그림 1과 같다. 본 연구의 수업 설계 - 32 - 3.4. 연구절차 본 연구는 2017년 6월 첫째 주부터 8월 둘째 주까지 총 10주간 영어 그림 책 반복읽기 수업 10차시,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수업 10차시로 실행되었다. 영어 그림책의 선정은 Roberts(2008)의 연구를 바탕으로 총 65개의 목표 어휘 들을 구글 이미지 검색을 활용해 가장 대표성 있는 클립아트로 인쇄하였으며 색감을 고려하였다.
'영어영문학, 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언어와 이야기의 단어를 문장으로 확장 (0) | 2020.09.06 |
---|---|
주변 이미지에 쉽게 방해 받는 유아들의 특성 (0) | 2020.09.06 |
교사의 일회성의 책 읽어주기 (0) | 2020.09.06 |
어떤 언어를 말하고 이해한다는 것 (0) | 2020.09.06 |
조기 이중 언어 교육의 중요성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