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herapeutos
조기 이중 언어 교육의 중요성 본문
2.3.2. 조기 이중 언어 교육의 중요성과 가치 조기 이중 언어 교육은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연령과 궁극적으로 도달하 는 유창성의 수준과 관련이 있으며(Hakuta, Bialystok, & Wiely, 2003; Johnson & Newport, 1989), 언어는 배우는 시기에 따라 뇌의 각기 다른 부위 에 표상된다(Kim, Relkin, Lee, & Hirsch, 1997; Weber-Fox & Neville, 1996). 즉, 제 2언어를 일찍 습득할 때, 모국어와 동일한 위치에 표상되어 모국어와 사용방식이 동일하지만, 제 2언어에 늦게 노출되면 모국어와 다른 뇌 부위에 표상되어 모국어와 같이 유창하게 사용 할 수 없다(안은숙, 김연하, 2009). 두 가지 이상의 언어에 노출되는 유아는 두 언어 사이의 충돌로 언어 발달이 다 소 지연 될 수는 있으나 결코 정상 발달의 범주 밖으로는 벗어나지 않는다 (De Houwer, 1995). 또한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유아의 어휘는 그 언어에 대 한 어휘가 적을 수 있으나, 한 언어에서 모르는 단어를 다른 언어에서 아는 경우가 흔하며, 전체의 어휘 크기가 단일 언어 아동의 어휘 크기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Oller & Pearson, 2002; Pearson, Femandez, & Oller, 1993). 이중 언어 교육 방법을 살펴보면, 두 언어를 동시에 발달시키는 것과 한 언 어를 먼저 발달시키고 다른 언어를 나중에 발달시키는 두 방법 모두 이중 언 어 교육의 성공적 방법이다(Colin, 2000). 3세 이전 이중 언어 학습자들과 후기 이중 언어 학습자들이 두 언어를 사용할 때, 언어에 민감한 부위인 뇌의 브로 카 영역(Broca Area) 대뇌피질로부터 두 언어가 근접하여 나타나는지, 상대적 - 11 - 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나타나는지를 연구한 결과 두 언어지대가 가까이 근 접해서 나타나는 것은 두 언어를 유아기에 습득한 경우이다(Penfield & Roberts, 1959). 즉, 유아기에 조기 이중 언어를 습득하게 되면 두 언어의 습 득에 더하기 개념을 넘어서 효과가 배가 되는 곱하기의 개념이 된다. 두 언어 가 상호간의 사고의 폭을 넓혀주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독해 학습에 있어 유 리하게 되고 사회적, 문화적으로 큰 장점을 얻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중 언어 구사자들이 융통성이 높고 보다 창의적인 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Christian, Morrison, Bryant, 1998). 하지만 이중 언어로서 영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우리 아동들에게 먼저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긍심을 심어주며 우리의 전통문화, 현대 한국문화의 뿌 리와 근본과 함께 영어 문화에 대한 교육을 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이중 언어 의 교육은 두 언어의 문화가 만나서 충돌을 일으키는 것이 아닌 두 문화의 장 점이 섞여서 훌륭한 융합을 이룰 수 있다는 인식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것이 이중 언어 교육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언어적 환경에서 성장한 아 동은 청소년기에도 안정적 분위기에서 자긍심을 지닌 이중 언어 구사자로 성 장 할 수 있을 것이다. 2.4. 영어 교육과 어휘 2.4.1. 어휘의 개념 어휘 지식은 어휘의 형태(form), 의미(meaning), 사용(use)에 관한 지식으로 구성된다(Nation, 1990). 또한, 어휘는 영어로 'vocabulary', 'word', 'lexicon' 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이를 구분하자면, 어휘(vocabulary)는 어떤 개념이나 - 12 - 사물을 나타내는 말이나 어떤 일정한 범위 안에서 쓰이고 있는 전체적인 단어 를 의미하며, 낱말(word)은 언어의 단위(unit of language)로 말이나 글로 나 타내는 것을 지칭한다. 또한 어휘 목록(lexicon)은 언어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로 어휘집을 뜻한다(배두본, 2001). 이렇게 어휘는 낱말, 어휘목록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 다(김지은, 2013). 어휘는 의사소통과정에서 문법적으로 완벽하지 않은 어휘의 나열만으로도 의미 전달이 가능하며 문법이 없이도 어느 정도 의미를 전달할 수 있지만 어 휘가 없으면 어떤 의미도 전달되기 어렵다(Wilkins, 1972). 또한, 어휘는 의사 소통을 할 때 서로간의 의미전달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로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을 학습할 때 기본 바탕이 되며 (Nation, 2001) 사 용하고 있는 어휘에 대한 지식이 있음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박선미, 2015). 2.4.2. 어휘능력의 정의 및 구성요소 어휘는 ‘어휘능력’이라는 개념으로 평가되고 파악되는데 어휘능력의 정의는 개인이 습득하여 가지는 개별 어휘의 양과 그 어휘에 대한 의미와 용법을 적 절하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이다(이차숙, 2004). 어휘력은 자신이 말하고자 하 는 내용과 다른 사람이 말한 내용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되는 능력이며(김영 태, 2009), 언어 기능이라는 커다란 집을 이루는 추상적 구조물들이 말하기, 듣 기, 읽기, 쓰기와 같은 영역들이라면, 어휘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소 재라고 비유할 수 있다(김광해, 1995). 언어발달은 단순히 모방만으로는 완성 될 수 없고 어휘의 의미를 이해해야 가능하며 어휘의 습득을 기본으로 삼으며 - 13 - (하길종, 2001), 새로운 어휘 습득은 전 생애 동안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문 해 발달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볼 수 있다(Clark & Clark, 1977). 어휘능력은 언어능력의 기본으로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 전반적인 언어능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지은, 2017). 어휘력의 영역은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수용어휘력은 글을 읽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들을 때 특정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며 표현어휘력은 듣고 이해하며 맥 락과 의미에 맞게 단어를 사용하는 능력을 말한다(김영태, 2009). 즉, 어휘력은 다양한 단어의 의미를 아는 것이며, 문맥 속에서 단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관련 단어에 대한 지식까지 포함한다(Carlisle, Fleming & Gudbrandsen, 2000). 수용어휘는 첫 단어가 나타나기 전부터 이미 발달되기 시작하며 표현 어휘는 생후 12개월 무렵에 처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생후 12개월에 첫 낱 말을 산출하기 시작하여 생후 20개월 무렵이 되면 수용어휘는 300여개, 표현 어휘는 약 50~100여개 이상에 이르게 되며, 만 3~4세경에는 수용어휘는 약 20,000개, 표현어휘는 약 13,000개까지 습득하게 된다(김영태, 2002). 이 두 가 지의 어휘력은 통합적으로 발달하면서 점차 어휘의 수가 늘어가게 되는 것이 므로 어휘력을 측정할 때는 수용어휘력과 더불어 표현어휘력도 함께 고려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유아의 어휘발달은 모방, 반복 및 연습, 창의적인 혼합 등의 의해 이루어진 다(Brown & Kane, 1986). 즉 유아는 어휘 발달의 기초적 습득을 하면서 차츰 어휘력이 커지고 문장의 구성이나 문법적인 여러 가지를 습득해간다는 뜻이 다. 이는 유아가 단순한 어휘의 모방에서 벗어나 그 의미를 파악하고, 다양한 단어의 사용과 함께 언어를 직접 표현하고 적절한 문장 구성을 할 수 있는 능 력을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지은, 2017). 따라서 유아 어휘 력의 격차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욱 크게 벌어지게 되므로 유아 시기의 어휘 - 14 - 력 발달은 아주 중요하다(Hart & Risley, 1995). 2.4.3. 어휘 지도의 중요성 어휘 지도의 중요성은 좀 더 유창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강조되고 있 다(이하연, 2010). 알맞은 어휘를 활용하지 못하면 화자의 의도와 다른 뜻이 전달 될 수 있고, 화자가 적절한 때에 어휘를 사용하지 못하면 의사소통이 어 렵게 된다. 의사소통의 핵심요소는 어휘를 아는 것이며, 새로운 언어를 학습한 다는 것은 새로운 어휘를 학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Vermeer, 1992). 의 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방법 중 한 가지 효과적인 방법은 어휘지식을 쌓 는 것이다(Seal, 1991).
'영어영문학, 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의 일회성의 책 읽어주기 (0) | 2020.09.06 |
---|---|
어떤 언어를 말하고 이해한다는 것 (0) | 2020.09.06 |
한국어그림책 반복읽기와 유아의 한국어 어휘능력 (0) | 2020.09.06 |
유아의 두 가지 이상의 언어 경험 (0) | 2020.09.06 |
교사의 목표문장 발화시도 미션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