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therapeutos

다양한 나라의 말 본문

영어영문학, 헬로!

다양한 나라의 말

③℉ 2020. 9. 6. 06:00

전사자료20 (사후면담, 예빈 어머니, 4.20) 예빈 어머니: 예빈이 아빠한테 예빈이 영어 잘한다고 자랑하고 싶어서 예빈이한테 요일 노래를 해보라고 했는데...발음도 원어민처럼 너무 좋은거에요. 예빈아빠 도 너무 놀래서 예빈이 대단하다며 칭찬을 했어요. (중략) 저한테 유튜브로 숫자송 찾아서 틀어달라고도 하고, 100까지 다 셀 수 있다고 자랑 하기도 하고, 집에서 영어퀴즈를 혼자 찾아서 풀기도하고, 선생님하고 수업 후에 영어에 관심이 부쩍 많아지고 즐겨하는 모습이 많이 보여서 신기 하고 너무 좋아요. 예빈이의 특이점은 혼자 수업을 진행할 때와 또래와의 합동학습을 할 때 너무 다른 양상의 의사소통의지를 드러낸다는 것이다. 어머니의 참관수업 1차 시 외에 혼자만 수업이 진행되었던 2/3/5/6/8차시엔 수업도 중 스스로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작용을 시도하기 보다는 교사가 발화의 기회를 주 었을 때에만 적극적으로 발화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수업 녹화 자료가 없는 5,6차시의 상호작용 코드분석 결과를 볼 순 없지만 수업 직후 작성 되었던 관찰일지와 교사의 수업진행 기억을 통해서도 추측해 볼 수 있다. 또한, 예빈이는 [표 2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업 중 궁금한 것에 대해 질문을 하는 ①번 유형에 해당하는 의사소통의지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사자료21 (수업녹화, 예빈&승훈 4차시, 3.22) 교사: 그래 그럼 이번엔 승훈이 한번 해보자, 승훈이 숫자 몇까지 세어달라고 해보고 싶다고? (중략) 교사: 승훈이 그럼 10까지 해보자. Ready go! 예빈: Ok, google. Count to one hundred. 교사: 예빈아, 승훈이가 가야할 시간이라서 그럼 승훈이 미션하고 간 뒤에 예빈이가 또 해보자. 예빈: Ok, google. Count to ten. 승훈: Ok, google. 니가 하지마. 이번엔 내 차례야. - 63 - [표 23] 의사소통의지(WTC) 양상 분석 (예빈) 주. 가로 안은 ( ) 수업차시를 표기 ⑤ 선우 선우는 교사의 집안사정으로 4/5/6차시 수업을 동시에 하루 1시간동안 진행 하였는데, 교사는 당시 4,5차시를 진행하려 했으나 6차시 수업 교구 를 유아가 보게 되자 유치원 같은 반 친구 채영이도 6차시에 해당하는 수 업을 배웠으면 자신도 배우고 싶다고 교사에게 제안하여 진행하게 되었다. 선우는 평소에 학습자의 집에 비치되어있는 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발화의 기회에 노출되어진 가운데 적극적으로 상호작 용을 시도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있었고, 다른 유아들과는 다르게 발화의 기회가 언제나 가능하여 유아가 원할 때나 교사가 반복학습을 시킬 때 등 평소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작용 시도에 대한 자신감과 동기부 여가 작용해 의사소통의지가 매 차시 높게 나타났다. 다만 목표문장이 다 의사소통의지(WTC) 행동유형 ① 교사에게 ‘질문’을 하는 것 (해당사항 없음) ②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는 시도 (7) 교사가 ‘3시, three 찾아볼까?’라고 묻자, ‘이거요!’라고 답하 며 ‘three’옆에 써 있는 숫자 3 [three 3] 힌트를 보고 유추 하여 찾아낸다. ③ 어휘ㆍ형태적, 동사적 으로 어려운 구문을 목표언어로 시도 (6) 악기소리 모두를 들어보고 싶어 하여, 교사의 문장 가이드를 따 라 구글홈과의 상호작용을 시도한다. ④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 (3) 챗봇이 동물소리를 들려주자, 눈을 크게 뜨며 활짝 웃어 보 인다. 다른 동물들의 소리도 들어보고 싶다고 한다. (6) 세계 여러 나라 친구들의 언어에 관심을 갖으며, 목표어휘에 나와 있는 다양한 나라의 말을 들어보고 싶다고 한다. (7) 선생님이 알려주지 않은 영어도 안다며 ‘potato’ 가 감자에 요, 라고 수업 중간에 말한다. (8) ‘march’를 보고 아는 단어라고 말한다. ⑤ 교사의 특별한 요청 없이도 활동에 자발 적으로 참여하는 것 (2) 교사의 ‘오늘은 무슨 요일이야?’라는 질문에 ‘월요일. It is Monday.’라고 정확하게 답변한다. (3) 동물 이름을 맞추는 주사위 게임을 할 때, 동물소리를 내며 재미있게 묘사한다. (4) 동료와 함께 즐겨가며 수업에 적극성을 보인다. (7) 교사의 지시를 받지 않고도 돌발적으로 구글과 상호작용을 자유롭게 시도한다. (7) ‘Ok, google’호출음에 한 번만에 응답하면 성취감을 느끼고 상호작용을 여러 회 시도하며 즐거운 표정을 지어 보인다. (7) 합동수업 시 승훈이와 구글과의 상호작용 시도에 방해가 될 정도로 구글과 상호작용시도를 많이 하였다. - 64 - 소 길었던 5,6차시에선 교구에 흥미는 느끼지만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 호작용 시 발화를 부담스러워하거나 어려워하고 머뭇거리는 모습을 보이기 도 하였다. 전사자료22 (수업녹화, 선우 1차시, 3.12) 선우: Hey, google. 어, 안되네 ok, google. 오, 됐다. 엄마 너무 재미있어요. 한번만 더 하면 안돼요? 전사자료23 (수업녹화, 선우 2차시, 3.15) 선우: 동생 잘 때까지 할래요, 까이유 날씨 한번 더 해보고 싶어요. 전사자료24 (수업녹화, 선우 3차시, 3.15) 선우: 엄마, 10번 따라 하고 나서 다시 해볼게요.(오류문장 수정 시) 전사자료25 (수업녹화, 선우 4차시, 3.29) 선우: 구글한테 80까지 세어달라고 하고 싶어요. (중략) 이번엔 100까지 세어달라고 해볼래요. 교사: 선우는 내일도 하고 언제라도 할 수 있으니깐 그만하자. 전사자료26 (수업녹화, 선우 7차시, 4.13) 선우: (선우가 구글홈을 팔꿈치로 터치하자) Google: Micro phone. 선우: Micro phone.(구글의 발화를 모방) 전사자료27 (수업녹화, 선우 8차시, 4.13) 선우: (google에서 생일 노래가 나오자 열심히 듣더니) 왜 근데 happy birthday 임선우 라고 안해요? - 65 - [표 24] 의사소통의지(WTC) 양상 분석(선우) 주. 가로 안은 ( ) 수업차시를 표기 의사소통의지(WTC) 행동유형 ① 교사에게 ‘질문’을 하는 것 (1) 날씨교구를 보며, ‘어떻게 구글한테 물어봐요?’ 하고 묻는다. (2) 다른 어휘를 보며 알려달라고 질문한다. (2) 너무 어렵다며, 조금 틀려도 괜찮냐고 물어보면서도 ‘What day is it? 맞아요?’ 라며 묻는다. (8) ‘Sing happy birthday to me’ 2번씩 반복해서 들려주니 구 글과 상호작용 미션에서 2번 반복하여 말하여 상호작용 성 공 후, 수업 끝난 후 ‘두 번씩 말해야 하는 거에요?’라고 궁 금했던 사항에 대해 질문한다. (8) 구글이 생일축하 노래를 불러주자 ‘왜 Happy birthday sun woo’라고 이름을 안 불러주냐고 묻는다. ②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는 시도 (4) ‘twenty- five 25 맞아요?’ 라며 우와 내가 맞췄다고 좋아한 다. (5) 일본의 인사말을 들려주자, ‘호비, 호비가 사는 나라, 일본사 람이에요?’라며 추측해본다. ③ 어휘ㆍ형태적, 동사적 으로 어려운 구문을 목표언어로 시도 (5) 막대인형 친구들의 다양한 나라의 언어를 듣고 싶어 구글홈 과 상호작용하기를 시도해본다. (문장이 길자 어려워 함) (6) 뿅망치 게임을 즐기며, 모든 악기의 소리를 다 들어보고 싶 어해 교사와 함께 확장된 표현을 함께 해본다. ④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 (2) ‘엄마, 죽지말고 맨날맨날 영어수업 해줘요. 너무 재밌어요’ 라고 말하며 지진이 나면 자신이 이 교구들을 다 가지고 가 겠다고 한다. (2) 수업이 너무 재미있어서 매일매일 하고 싶다고 이야기 한다. (2) “It is tuesday”가 발음이 어렵다며 안 따라해도 되냐고 묻는다. (3) 교사가 동물소리를 구글한테 들려달라고 어떻게 하는지 보 라고 말하니, ‘Ok, google’은 학습자가 교사 대신 하고 싶다 는 제안을 적극적으로 한다. (3) 주사위를 던져서 동물 나오는 소리를 내는 게임을 해보자고 학습자가 제안을 한다. (5) 막대인형을 보며 다양한 생김새, 언어에 흥미를 느끼며, 다 른 나라의 말을 다 들어보고 싶다고 한다. (5) 문장이 길자, ‘못할 것 같아요’ 라고 말한다. (7) ‘What time is it?’ 타겟문장을 듣자마자, ‘어, 이건 내가 할 께’라며 자신감을 드러낸다. (8) ‘Today is my birthday’를 좀 빨리 들려주었더니, ‘너무 어 려워요, 다시 알려주세요’라고 말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