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herapeutos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 본문
④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 (3) 수업시작 전, 간식을 먹는 동안 구글로 저번시간에 배웠던 날씨 동영상을 시청하고 싶다고 요청하였다. ⑤ 교사의 특별한 요청 없이도 활동에 자발 적으로 참여하는 것 (4) 수업시작 5분후 구글홈 앞으로 자리를 이동하여 구글에게 웃어보이는 등 친근감을 표시하고 구글홈을 터치하여 노래 가 흘러나오자, ‘댄스타임이다’하며 즐거워 한다. (7) 집에서는 교사를 모방하며 수업했던 타겟문장을 직접 해보 며 따라한다고 한다.(부모와의 사후 인터뷰 내용 중) (8) 생일케이크를 보고 가짜로 초도 ‘후!’불어서 끄는 흉내를 내 고 ‘Happy birthday’라고 말하며 웃어보인다. - 59 - 전사자료18 (수업녹화, 채영&진아 7차시, 4.13) 채영 어머니: 채영이 되게 아쉽다. 집에서 엄청 잘하는데... (중략) 채영이는 집에 가서 인형을 올려놓고 ‘ok google’ 선생님처럼 하면서 오늘은 날씨에 대해 배워볼 꺼에요. “How is the weather today?” (중략) 교사: 아, 정말요? 우리 채영이 집에서 그렇게 열심히 하는구나.... 채영 어머니: 네, 여기오기 전까지 하루도 안 빼고 매일매일 저러고 놀아요. ③ 진아 진아는 본 연구수업 내내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가장 많은 상호작용을 시도 했던 학습자이다. WTC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 MacIntyre와 다른 연구자들 (1998)은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 능력이 반드시 높은 수준의 WTC와 상응하는 것은 아니며, 동기, 성격, 집단 간 분위기, 그리고 자신감등의 요인이 작용한 결 과라고 밝혔다. 의사소통에서 보이는 자신감은 의사소통에 임하는 적극성을 결정 진다고 보았다. 이는 진아가 의사소통 능력이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목표문장으 로 AI 음성인식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모습을 볼 때, 제2 언어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 의사소통의지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과 일맥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수업녹화 분석에서 진아는 AI 음성인식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두려워하지 않고 목표문장 외에 확장어휘를 활용하여 상호작용 을 시도하는 모습도 자주 발견할 수 있었다. 동생의 미션성공을 위해 교사 처럼 목표 문장을 발화하여 동생 채영에게 자신의 문장을 따라하게 하고, 동 생 채영이가 구글홈의 시작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때마다 ‘Ok, google’ 호출음을 불러주며 상호작용 미션이 가능하게 도와주는 등의 노력을 하기도 하는 등, 매 차시마다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의지를 볼 수 있다([표 22] 참조). 또한 진아는 교사의 목표문장 발화와 비슷하게 상호작 용을 시도하며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의지를 보여주었다. 8차시 수업에서 상호작용 시도 횟수가 급격히 줄어든 것은 수업상황이 동생과 함께 하지 않 았던 다른 컨디션으로 경쟁할 대상의 부재로 인한 동기부여 결여가 의사소통 의지를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 60 - [표 22] 의사소통의지(WTC) 양상 분석(진아) 의사소통의지(WTC) 행동유형 ① 교사에게 ‘질문’을 하는 것 (1) 구글이 말하는 모습을 처음 접할 때, 교사에게 다시 보여줄 것을 요청한다. (2) 전시학습에 배웠던 목표문장을 교사에게 물어 AI 음성인식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시도하였다. (4) ‘30’ thirty를 /떠리/로 발음해 주니, ‘sorry와 비슷해요.’라며 단어를 반복해서 스스로 발화해본다. 발음이 잘 안되자 어떻 게 발음하냐며 교사에게 물어본다. (4) ‘fourteen을 보며 14 맞아요?’ 라며 묻는다. (7) 타겟문장을 이해하고, 목표어휘를 다르게 들으면 교사에게 질문하며, 교사의 대답도 똑같이 따라하며 열심히 수업에 참여한다. ②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는 시도 (1) 구글의 응답에도 귀를 바짝대고 들어보려 하는 모습을 보이 며 ,목표어휘인 ‘sunny, cloudy’를 들었다며 햇님, 구름이라 고 말한다. (3) Monday를 가르키며 월요일이에요? 하며 추측해본다. (4) 교사와 함께 13~19까지 영어로 읽어내려 갈 때, ‘teen’만 따라읽다가 “teen 다 똑같아요” 하며 10자리수는 teen이라 고 하면 돼요? 라고 묻는다. ③ 어휘ㆍ형태적, 동사적 으로 어려운 구문을 목표언어로 시도 (4) 교사가 구글홈에게서 no feedback을 받자 살짝 웃으며, 자신이 시도해본 후 yes feedback을 받아내며 ‘됐어요. 제가 했어요’ 라며 뿌듯해한다. (4) ‘70 seventy’부터는 교사 도움 없이 flash 카드의 ‘seventy’를 옮겨가며 스스로 읽어 내려간다. (5) ‘ok,google stop’평소 교사가 사용하는 구글홈과의 상호작용 문장을 기억하여 자신이 직접 시도해본다. (5) 타겟 문장 하나만 하면 미션성공인데, 첫 성공 후(china), 미 션문장을 5회 더 성공시킨다. (교사가 동생과 게임을 하고 있는 사이 교사의 지시 없이 자발적으로 china, france, india 등 확장어휘로 구글과의 상호작용을 시도해본다. (7) 타겟 문장으로 인지가 되면 무조건 들은 직후 곧바로 구글과 상호작용을 시도한다. ④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 (3) 수업을 빨리 시작하고 싶어 한다.(‘왜 빨리 안해요?’)라며 묻 는다. (4) ‘이 카드 섞어서 숫자 카드 찾아봐요’ 게임을 제안한다. (5) 게임에서 다른 나라가 나오자, 자신은 중국을 좋아해서 중국 인사말을 듣고 싶다는 말을 한다. (8) 4월이 생일이어서 몇일 안 남았으니 오늘 구글하고 생일파 티를 하면 되겠다고 하며 즐겁게 참여하고 재미있어한다. ⑤ 교사의 특별한 요청 없이도 활동에 자발 적으로 참여하는 것 (1) 수업이 끝났음을 알렸는데도, 구글 앞을 떠나지 못하고 혼자 서 마이크 장난감을 찾아와서 ‘Ok, google. How is the weather?’을 시도해본다(약 4분동안). (2) 수업 시작 전 연구자의 집에 도착하자마자 전시수업에서 학 습했던 문장으로 구글과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2) 수업 도입/전개/마무리 내내 교사의 지시 없이도 구글홈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시도한다. (3) 동생이 미션을 성공할 수 있게 문장을 연습시켜주며 조력자 의 역할을 해준다. (4) 챗봇이 숫자를 100까지 세는 동안 챗봇 가까이 가서 주의 깊 게 들어보며 ‘teen 나왔어요.’ 하며 규칙을 배웠던 것들을 들 어서 찾아낸다. - 61 - 주. 가로 안은 ( ) 수업차시를 표기 전사자료18 (수업녹화, 채영&진아 3차시, 3.20) 진아: Ok, google. ‘오늘은 몇 요일이야?’ 는 뭐라고 해요? 교사: What day is it? (2회 반복) 진아: Ok, google. What day is it? google: It is Monday, 24, march 2017. 전사자료19 (수업녹화, 채영&진아 3차시, 3.20) 진아: 채영아, 언니랑 같이 해보자. Ok, google. What does the cat say? 채영: Ok, google. What does the.... google: I don’t understand. 진아: 채영아 What does the cat say? (중략) 진아: 채영이 성공! ④ 예빈 예빈이는 혼자 수업이 진행될 때에는 AI 음성인식 시스템과의 상호작 용을 특별히 스스로 시도해 보려는 모습을 찾아볼 수는 없었다. 하지만 또래 친구와 함께 합동으로 수업 한 4차시와 7차시 수업에선 예빈이의 의사소통의지를 가장 잘 볼 수 있었다. 또한 부모와의 사후 인터뷰에서 교실 밖에서 영어수업을 또 언제 가냐고 물어보고, 수업 후엔 오늘은 무엇을 배웠고, 엄마에게 유튜브로 수업 주 제에 맞는 노래를 틀어달라고 하는 등의 적극성을 보여주었다고 어머니의 사후 면담을 통해 드러났다. 수업을 오기 전까지 매일 아침마다 수업 관 련되었던 영어노래를 틀어서 듣는 등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엄마와의 사후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5) 처음에는 문장이 길어보이니 ‘너무 어려워요’라고 말했는데 여러 차례 교사에게 물어보며 혼자 연습해보고, 구글을 불러 구글의 대답을 들을 때까지 시도한다. (5) 지속적으로 상호작용을 시도한다. 동생 차례임에도 ‘Ok, google.’ 호출음이라도 시도하려는 욕심을 보인다. (7) 수업도중 교사가 시키지 않아도 계속적으로 구글과의 상호 작용을 시도한다. - 62 -
'영어영문학, 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의 특별한 요청과 자발적 활동 참여 (0) | 2020.09.06 |
---|---|
다양한 나라의 말 (0) | 2020.09.06 |
학습문장 발화횟수 및 상호작용 시도횟수 (0) | 2020.09.06 |
수업시간 교사의 목표 문장 및 어휘 지도 (0) | 2020.09.06 |
유아영어학습자와 원어민의 언어능력 수준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