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herapeutos
수업시간 교사의 목표 문장 및 어휘 지도 본문
① 승훈 [표 15]는 수업시간에 교사가 목표 문장과 어휘를 지도한 횟수, 그리 고 학습자가 AI 음성인식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위하여 발화를 시도한 횟수, AI 음성인식 시스템이 목적과 다른 피드백을 주었을 경우(no feedback), AI 음성인식 시스템이 목표 문장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목적 한 피드백을 주었을 경우(yes feedback)를 각각 횟수로 계상하여 정리한 표이다. [표 15]에서 볼 수 있듯 승훈의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발화 시도 횟수 는 짧은 수업시간의 제한점을 감안하고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 승훈은 1 차시에서 처음으로 AI 음성인식 시스템을 마주할 때 부끄러워하는 모습 을 살짝 비추기도 했지만 수업차시가 지날수록 적극적으로 AI 음성인식 시스템 앞으로 가까이 다가가서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승훈이의 상호작용 시도횟수에서 살펴볼 점은 시도 횟수에 비해 feedback이 극히 적었다는 것이다. 이는 수업관찰일지와 수업녹화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승훈이는 궁금한 것을 참지 못하고 교사에게 질문하여 교사의 목 표문장을 한번 듣고 곧바로 상호작용을 시도하였다. 그 과정에서 AI 음성 인식 시스템이 반응할 때까지 호출음 ‘ok, google’을 계속하여 발화해 상 호작용시도횟수가 높아진 것이라 설명될 수 있겠다. 전사자료11 (수업녹화, 승훈 2차시, 3. 14) 승훈: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오.. 내가 했다.(웃음) 교사: What day is it? (작은목소리로 문장 가이드해 줌) 승훈: Ok, google. (교사 눈치보다) what [deiz] monkey ? google: Here’s a summary from wikipedia, Monkey Day is an unofficial holiday celebrated internationally on December 14. While the holiday is mainly about monkeys, it also celebrates other non-human primates such as apes, tarsiers, and lemurs. (중략) 승훈: Monkey ,monkey.(웃음을 지어보이며 구글에게서 응답을 들어 즐거워 함) - 51 - 교사: 승훈이가 ‘monkey day’를 물어봤네. ‘Monkey day’는 선생님도 처음 들었어. 승훈: Ok, google. Rabbit. (웃음) 왜 안돼요? 교사: 뭐가 궁금한건데... 잘 물어봐야 돼. 단어만 이야기하면 구글 친구가 잘 알아들을 수가 없대. 승훈이 봐봐. 선생님이 갑자기 승훈이 한테 ‘시계’(말을 잠시 멈춤) 그럼 무슨 말인지 알겠어? 승훈: 아니요. 교사: 그렇지? 시계좀 봐봐, 지금 몇시야? 하고 물어봐줘야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겠지? 승훈: (고개 끄덕끄덕) [표 15] 학습문장 발화횟수 및 상호작용 시도횟수(승훈) (단위 : 회) 구분 교사문장 지도 학습자 상호작용시도 구글홈 반응 No 비고 feedback Yes feedback 1차시 79 19 1 3 2차시 74 42 4 2 3차시 56 58 9 2 4차시 25 25 4 3 5차시 51 23 4 2 6차시 33 14 11 0 7차시 98 38 6 5 8차시 79 52 5 2 ② 채영 채영이는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작용 시도가 다른 유아에 비해 적었 다는 점에 반하여 구글홈으로부터 ‘yes feedback’ 즉, 정확한 발음으로 학 습문장을 발화하여 목표로 하는 피드백을 들은 횟수가 많았다.[표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5차시에서의 no feedback은 목표문장이 길어서 채영이가 교사의 문장 가이드를 따라하려 잠시 문장을 멈추면 구글홈이 문장이 끝났 다고 판단하여 no feedback으로 반응한 값이다. 전사자료12 (수업녹화, 채영&진아 5차시, 3.29) 교사: 이제 채영이 한번 해보자. 진아는 잠깐 기다려 줘. 채영: Ok, google. 교사: How can I say ‘hello’ in india? 채영: How can I say.... - 52 - google: I don’t understand. 교사: 음, 채영아 조금 빨리 해보자. How can I say ‘hello’ in india? 채영: Ok, google. 교사: How can I say ‘hello’ in india? 채영: How can I say (멈춤) hello.... google: Sorry, I’m not sure how to help with that. [표 16] 학습문장 발화횟수 및 상호작용 시도횟수(채영) (단위 : 회) 구분 교사문장 지도 학습자 상호작용시도 구글홈 반응 No 비고 feedback Yes feedback 1차시 84 8 0 1 3차시 58 2 0 1 4차시 8 4 0 1 5차시 55 13 4 1 8차시 7 8 0 2 ③ 진아 진아는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작용 후 구글홈의 반응에서도 목표 어 휘를 찾거나 타겟 문장을 들어 교사에게 듣기에도 성공한 것을 알리는 모 습이 자주 나타난다. 진아는 특별한 교사의 지시가 없어도 목표문장을 가 지고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작용을 시도하여 yes feedback을 받는 것 을 반복적으로 여러 회 시도한다. 궁금한 것이 있으면 교사에게 물어가며 문장을 스스로 만들어보기도 하는 등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모 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3차시에서의 no feedback이 많은 결과는 오류문장 의 연습 없이 계속해서 시도해 보는 과정에서 얻은 값이며, 5차시에서의 no feedback은 목표문장 외에 확장어휘를 가지고 교사에게 물어가며 발화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과 4차시 복습 목표문장 발화에서 구글홈의 인식의 오류로 생긴 결과이다([표 17]참조). - 53 - 전사자료13 (수업녹화, 채영&진아 1차시, 3.13) 진아: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google. ok, google. ok, google. How is the weather? google: Right now in Yeongi-gun, It is 11 and sunny. It will be partly cloudy there today. The forecast high of 13 and low of -2. 진아: 오, 신기하다.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ok, google. How is the weather? google: Right now in Yeongi-gun, It is 11 and sunny. It will be partly cloudy there today. The forecast high of 13 and low of –2. 진아: Sunny and cloudy. (집중하여 구글의 피드백을 듣고서 혼자 되내임) 전사자료14 (수업녹화, 채영&진아 5차시, 3.29) 진아: Ok, google. How can I say ‘hello’ in china? google: 니하오. 진아: Ok, google. How can I say ‘hello’ in china? google: 니하오. 진아: 오, 또 됐다.(웃음) Hello, 안녕하세요.(구글에게 혼자 인사함) google: Sorry, I’m not sure how to help with that. 진아: 선생님 봉쥬르는 어떻게 해요? 교사: 아, 진아 프랑스어 듣고 싶구나. How can I say ‘hello’ in France? 진아: Ok, google. How can I say ‘hello’ in France? google: 올라 (목적과 다른 피드백) 진아: 다시다시... Ok, google. How can I say ‘hello’ in France? 에잇.. 늦게말했다. google: Sorry, I’m not sure how to help with that yet. [표 17] 학습문장 발화횟수 및 상호작용 시도횟수(진아) (단위 : 회) 구분 교사문장 지도 학습자 상호작용시도 구글홈 반응 No 비고 feedback Yes feedback 1차시 88 76 3 9 3차시 71 46 14 3 4차시 12 15 2 5 5차시 72 77 16 16 8차시 47 3 0 2 - 54 - ④ 예빈 예빈이는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작용을 특별히 혼자서 시도해 보 려는 모습을 찾아볼 수는 없었지만 교사의 목표문장 발화미션에서는 유아 들 중 가장 정확하게 발음하여 yes feedback을 많이 얻어낸다. [표 18] 에서 알 수 있듯이 예빈이는 4차시 7차시에서 유독 AI 음성인식 시스템 과 상호작용 시도 횟수가 많아지는 데, 앞서 전술했듯 승훈이와의 합동수 업이 진행될 때 경쟁적으로 전시학습에서 배웠던 목표문장을 가지고 AI 음성인식 시스템과 상호작용을 시도했던 것이었다. 전사자료15 (수업녹화, 승훈&예빈 7차시, 4.12) 예빈: What day is it? google: Sorry, I'm not sure how to help with that yet. 승훈: Ok, google. ok, google. 예빈: Ok, google. ok, google. What day is it, one? 승훈: What day is it, all [naiʃa] one?(예빈과 거의 동시에 발화) google: Sorry, I'm not sure how to help with that yet. 예빈: 아, 잠깐 조용히 해봐. ok, google. what day is? what day is? 승훈: it? google: It is monday, The 27, march 2017. 예빈: Twenty seventeen?
'영어영문학, 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 (0) | 2020.09.06 |
---|---|
학습문장 발화횟수 및 상호작용 시도횟수 (0) | 2020.09.06 |
유아영어학습자와 원어민의 언어능력 수준 (0) | 2020.09.06 |
목표문장과 확장어휘 (0) | 2020.09.06 |
학습자의 목표문장 발화상의 오류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