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therapeutos

데이터 중심의 접근방법 본문

영어영문학, 헬로!

데이터 중심의 접근방법

③℉ 2020. 9. 5. 18:00

논의에서는 연 구결과가 갖는 의미를 해석하고 이론적 연관성을 추론하였다. 제5장 결론 및 제언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서술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내용에 있어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 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 6 - Ⅱ. 이론적 배경 본 장에서는 본 연구내용과 관련이 있는 선행연구들과 이론을 살펴보았다. 우선 제2언어 학습에서 말하기의 중요성에 관련된 이론들과 선행연구를 찾아보고, 두 번째 절에서는 본 연구의 학습도구인 AI 음성인식 시스템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영어교육에 있어 AI 음성인식 시스 템의 개념을 구체화시키고 AI 음성인식 시스템이 유아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2.1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교육 2.1.1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 말하기는 의사소통을 위한 총체적 구두 표현 능력이고, 상대방과의 의사 소통을 원활하게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한다(Widdowson, 1978). 자신이 의도하는 말의 의미를 전달하고 청자에게서 원하는 반응을 얻도록 자신의 발화를 조절하는 것이 말하기라고 정의하였다(Kramsch, 1993). 말하기는 문자언어가 아닌 음성언어를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 들에게 정확한 언어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의사를 나눌 수 있는 능력을 의 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말하기는 넓은 의미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능력이라는 포괄적인 측면에서 정의되어 질 수 있다(박혜정, 2013). Swain(1985)은 말하기를 출력이라 표현하며, 제2언어 학습의 과정에서 출 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3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언어 출력이 학습자의 언어적 자원을 유의미하게 사용하는 기회를 제공해서 그것들의 사용을 자동화시킨다는 것이다. 이것은 정확성보 - 7 - 다는 유창성의 문제이다. 목표언어 출력이 발화 연습 측면에서 유창 성을 고양한다. 둘째, 출력의 가설점검 기능(hyphothesis-testing)으로 출력을 산출하는 것이 이해정도 또는 언어의 적형성(well-formedness)에 대한 가설을 테스트하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의 출력은 자신의 언어지식을 통제하고 내재화하면서 메타언 어학적 기능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학습자가 입력을 이해할 때 보다 출력할 때, 정교한 통사적 처리과정을 거치며, 이러한 과정은 학습자가 자신의 출력을 수정하고 재처리하도록 유도하며 언어습득 으로 연결된다. 외국어를 학습하면서 목표어와의 사회적ㆍ심리적 간격의 결과로서 자 신의 모국어와 목표어 사이의 규칙이 혼합된 중간어 체계를 제대로 교정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현상이 피진화(pidginization) 현상인데,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화석화(fossilization)가 된다. 출력가설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출력이 정확한지 토의하고 문제점을 찾아내는 대화를 나누게 함으로써 피진화 및 화석화 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Swain & Lapkin, 1995). 입력된 내용을 다시 출력을 함으로써 학습이 되고 대화상대자의 반응 여하에 따라 수정된 이해가능 출력(modified comprehensible output)이 되면서 언어가 습득된다는 것이다(최영미, 2002). 2.1.2 상호작용 가설(interaction hypothesis) 상호작용가설은 1983년에 Long에 의해서 주장된 이래, 데이터 중심의 접근방법에서 시작하였으나 이론적으로 발전하면서 점차적으로 인지심리 학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Long이 1983년에 주장한 바에 의하면 - 8 - 원어민과 비원어민 간의 대화장애가 의미조율을 통하여 해결되어 결과적 으로 언어입력의 이해가 증진된다고 했으나, 이후 1996년의 수정된 상호 작용이론에서는 이러한 결과적인 이유보다 의미조율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지심리적인 현상(형태집중; focus on form, 인지; noticing)이 언어습득의 촉발제라는 주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이혜문, 2008). Long(1983)은 비원어민과 원어민 간의 의사소통 양상이 원어민들 간의 의사소통 양상과 크게 나누면 두 가지가 다르다고 하였다. 첫째는, 비원어민과 원어민 간의 사용하는 언어가 비원어민의 언어능력 수준에 맞춰 조정된다는 것이고, 두번째로는 담화 구조의 수정 또는 변형이다. 외국인 대상언어(foreigner talk)는 단순한 문법구조나 자주 사용되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원어민이 비원어민의 낮은 수준의 언어 능력에 맞추어 조정한 언어이다. 그러나 원어민이 다른 원어민에게 말하듯이 고려하지 않고 그대로 원어민 수준의 언어를 사용하게 되면, 비원어민과의 의사소통 장애가 일어나게 되며, 그러한 장애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자 간 확인질문과 그에 따른 대답과 같은 담화 상의 조정이 발생한다. Long은 언어자체의 조정보다는 소통장애(communication breakdown)를 해결하고자 하는 대화구조 조정이 목표어 이해를 진작시키고, 목표어 이해는 Krashen(1982, 1985)의 입력가설대로 제2언어습득을 가져온다는 ‘상호작용 가설’(interaction hypothesis)을 주장했다. Swain(1985, 1995)은 캐나다의 불어몰입교육 프로그램에서 영어를 모 국어로 하고 불어를 제2언어로 배우고 있는 학생들이 비교적 불어로 의사 소통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었으나, 전반적으로 말하기 기회가 매우 적어 원어민 수준에는 현저히 부족함을 초래했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출력 가설(Output Hypothesis)을 주장하였다. 상호작용 중 학생들이 처음에는 비문법적으로 발화한 것을 선생님과 확인질문에 따른 피드백에 의해 문법 적으로 수정되는데 이처럼 제2언어 습득에 있어 말하기 과정이 중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Swain은 학습자에게 교실 맥락에서 목표어를 사용할 기회가 - 9 - 주어지지 않았고, 출력에 대한 압력이 주어지지 않은 점을 들었고, 문자 기반 활동에서 상당히 학습한 지식도 구두 수행에서는 아주 미약하게 나 타났다고 하였다(조혜진, 2009). Swain(1985)은 출력가설에서 오류교정을 학습자가 대화하는 상대자의 반응(대화상대자의 이해 여부에 대한 신호)에 따라 학습자가 수정하여 다시 발화를 반복하는 과정으로 여긴다. 때문에 오류 교정의 당사자는 학습자 본인으로, 학습자 스스로 언어 출력을 교정하는 것은 적극적인 언어 수행과 자기통제를 유도하여 학습자 중심 언어 수업이 진행된다고 주장하였다. Long(1996)은 Swain(1985, 1995)의 출력가설(Output Hypothesis)을 포용 하여 그의 상호작용 이론을 확대 수정하였다. 아래는 이혜문(2008)이 상 호작용 이론에 영향을 준 이론들을 요약한 내용으로 연구자가 Swain의 출 력가설을 추가하였다. 1) Krashen(1982) 입력가설(Input Hypothesis) 충분한 양의 일방적인 언어입력(i+1) → 목표어 이해 증진 → 언어습득 2) Long(1983) 상호작용 이론(Interaction Hypothesis) 이해를 위한 의미조율 → 목표어 이해 증진 → 언어습득 3) Swain(1985) 출력가설(Output Hypothesis) 발화 기회 부여 → 목표언어와의 차이 인식 및 수정ㆍ보완 → 언어습득 4) Long(1996) 수정된 상호작용 이론(Revised Interaction Hypothesis) 이해ㆍ산출을 위한 의미조율 → 목표어 언어형태에 주의 집중 → 언어습득 Long의 상호작용가설(Interaction Hypothesis)은 학습자들이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는 다른 화자와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고 주장 하는 것으로, 그 상호 작용의 본질은 의미협상이라는 것이다. 의미협상은 실제 상호작용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현상으로 대화의 참여자들이 서 로의 발화를 이해하고 적절한 반응을 보이기 위해서 잠시 대화의 흐름을 중단하고 자신과 상대의 이해를 점검하는 과정을 말한다(주경진, 2009). - 10 -

Comments